387. 도심 인프라 공유 제안 / Jihong Bae

공간의 민주화
분리해소를 위한 공공 공유 시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용도 Program : 상업시설 Retail , 업무 시설 Office
대지면적 Site Area : 1,503㎡
건축면적 Building Area : : 8,891㎡
층수 Floors : 지하 5층, 지상 15층






Agenda

도시는 지역별, 구역별, 위치별로 차이를 가진다. 그 차이로 인해 어느 곳은 발전하고 어느 곳은 쇠락의 과정을 겪는다. 쇠락하는 지역은 문제를 극명하게 드러내지만, 발전하는 지역에서는 각종 문제들이 숨겨지고 일정 시점에 이르러야만 그것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때서야 비로소 실질적인 문제가 된다.
일례로 홍콩의 과밀화 현상이 있다. 홍콩은 서방 세계와 중국과의 교류의 장으로 각광받았다. 홍콩의 과밀화 현상은 고도 성장에서 비롯되었지만, 그것이 본격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영광의 시기가 지난 뒤 였다. 그제야 과밀화 현상으로 인한 대도시의 이면을 보여주기 시작한 것이다.

과밀화 된 도심 문제의 중심에는 소비와 판매의 공간이 서있다. 그 쯤에서는 어느 공간이든 돈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단기간에는 좋은 면들만 증폭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높은 비용에 내,외부의 양극화가 일어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민주화가 필요하다. ‘공간의 민주화‘란 공적 용도의 공간을 늘리는 것으로, 이는 훨씬 더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더불어 그로 인한 파급력은 배가 될 수 있다. 또한 소비중심 공간의 벽을 허물게 된다면, 다양
한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다.






대상지 Site

한국은 수도권 중심의 발전으로 인하여 수도인 서울을 고밀화와 고층화가 필연적일 수 밖에 없었다. 서울에서는 특히 강남에 일자리, 인프라의 집중으로 소득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강남의 일자리, 지하철 역, 도서관, 어린이집의 수 뿐만 아니라, 공원의 수까지도 서울 내 다른 지역의 평균 이상이다.
우리는 이러한 경향성을 막을 수 없다. 하지만, 지역 불균형을 완화하고 각 지역의 이점을 교통, 운송, 통신의 발전으로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부지로 선택한 강남역은 교통, 교육, 상업, 업무, 금융 등 많은 부분이 발전 곳이다. 동시에 그러한 시설들의 다수가 돈을 지불해야하는 시설들이다. 강남의 밀집의 특성을 활용하여 강남의 이점을 활용한 강남만의 공유, 공공 시설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개념 Concept

고층 형태를 들어고 부분 부분 밀어서 틈새 공간을 만든다. 이러한 공간들은 사람을 들어오게 하고, 이용하게 하고, 그러한 사람들을 다시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게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은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게 쪼개진다. 쪼개져서 다양한 수요에 맞출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그 개별 공간의 이용과 점유를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컨셉을 통하여 건물은 일시적으로 필요한 도심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준다.






디자인 Design






프로그램 Program

건물은 라운지, 광장, 상업공간, 사무공간, 스튜디오로 나뉜다. 이를 사적, 공적 요인과 더불어 접근성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가장 공적이고 접근성이 좋아야하는 상업 공간은 팝업 스토어로 기능을 하며 광장 윗부분인 하층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위에 사무 공간, 라운지를 배치하는데, 코워킹 스튜디오를 사무 공간 사이 공적 용도를 고려하여 사무 공간 중앙에 배치한다. 스카이라운지는 외부와 연계된 업무를 고려하여 회의 공간 겸 접대 공간으로 상단에 배치한다.

공간 배치에 있어서 광장-상업-업무-라운지 배치와 연속된 동선과의 연결, 그리고 그 동선으로부터 나온 포켓 공간들의 활용이 중요한 설계요소였다. 특히 좁은 부지 면적으로 인하여, 업무시설이 배치된 중산단부는 한 면에서 연속적으로 올라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에서도 반복적이지 않게 단면, 평면을 계획하여 닫힌 건물이 아닌 열린 건물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철과 밀접한 광장부는 오고 가는 사람들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곳에서는 프로그램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다.






재료 Material

외장의 목재 루버는 연결되는 동선으로 부터 형태가 과도하게 분절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한 요소였다. 더불어 목재라는 재료로 유리와 철골, 콘크리트의 도심에 다양성을 불어넣으려고 하였고 특히나 이러한 재료 선택은 이곳이 강남역 출구 앞, 강남역 교차로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효과적이다.






도면 Drawings






모형 Maquette






credit

배지홍 Jihong Bae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