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 창업자들을 위한 공동주택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로 이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중요했다. 그들의 삶, 일, 놀이(Live, Work, Play)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공간을 가구로부터 출발했다. 유수의 창의적인 사내환경, 젊은 창업가들의 삶의 패턴 등 다양한 리서치를 통해 얻은 결과, 공통적으로 많은 의견이 오고가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중심적인 공간에 큰 탁자가 놓여있는 것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Big Table Room’ 명칭으로 코어 프로그램/공간을 제시하여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일과 놀이공간을 제시하였다. 코어 프로그램 ‘Big Table Room’에서 일어나는 활동(display, meeting, co-working, talking, studying, etc.) 의 빈도를 요일별로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성격을 구체화하였다.




청년 창업자가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하여 모든 유닛에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테라스 공간을 제공하고 세대원수는 같더라도 단층/복층 형태로 다양한 주거를 제시했다. 또한 공동주거라는 이유로 일방적인 공유공간을 (화장실/부엌 등) 제시하지 않고 보다 개개인의 생활이 보장된 공간 및 시간을 모든 유닛에 담아 주거공간에서 여유있고 다채로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다양한 형태의 주거 유닛은 건물의 다양한 입면구성을 만들면서 가로의 활기를 주고 접근성을 확장시켰으며 저층부에 공유공간 및 코어 프로그램을 두어 가로와 연결녹지의 연장선을 대지 안으로 끌어들였다.
credit
Co.ner Housing
하남경 Nam-kyoung Ha
4학년 2학기 4th Grade Fall Semest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