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introduction
저성장시대에 직면한 우리나라의 도시는 무분별한 외연적 확산과 공급자 중심의 양적 공급을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압축도시를 설계함으로써 질적 수준을 제고해야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써 기성시가지의 재생 및 사회공동체를 이용한 경제발전 등의 정책 등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 또한 주거와 상업의 시공간적 연계를 통해 경제발전을 유도함으로써 그러한 정책들과 맥락을 같이하고자 한다.

주제 theme
대규모 산업단지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마곡신도시 내 청년창업가들을 위한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탕이 되며, 그 중에서도 창업희망자 수 대비 정부지원률이 가장 저조한 요식업 분야에 초점을 맞춰 사회적 연계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이다.

내용 description
누군가에게는 ‘일(Work)’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식(Play)’이 되는 음식을 매개로 서로의 NEEDS를 이용해 청년요식업자를 발굴해내는 일종의 인큐베이팅하우스(Incubating House)로써 그 성질에 맞게 총 6단계로 나누어 공간 및 프로그램을 연결하였다.




공간과 프로그램의 기획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한 부분은 유휴공간과 유휴시간을 최소화 하여 INPUT과 OUTPUT의 균형을 이루고자 했다는 점이다.

비록 가상의 프로젝트 이지만 사회경제적 효용가치가 증명된다면 요식업 분야 외에도 청년창업가들의 다양한 아이템을 기반으로 주거공간의 기능적 한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역할할 수 있을거라 기대한다.
credit
마곡키친클럽
Magok Kitchen Club
: House for young enterpreneurs in the 21th century
서지희 Jihee Seo
4학년 2학기 4th Grade 2nd Semester
2016
지도교수 김기중 Gijoong Kim of 가로 건축사사무소 KARO Archit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