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Synergy Box / Seokhyun Kim






Background

현재 젊은 기업가 정신은 한국의 직업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주요 사업 중 하나는 젊은 기업가들을 위한 공간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그러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싶습니다. 시너지 박스 프로젝트는 함께 살 수있는 공간에서 젊은 기업가들 간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제안합니다. 그들은 함께 살면서 많은 아이디어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Currently, young entrepreneurship is seen as a way to solve the South Korean job problem. One of the main indust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s the space support project for young entrepreneurs. I would like to suggest how the space should be organized in this project. Synergy Box project proposes a design that maximizes the synergy effec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young entrepreneurs in a space where they can live together. As they live together, they will give and receive many ideas.






User Analysis

오늘날 “네이티브” 라고 불리는 디지털 세대의 젊은 기업가들의 특성과 문제를 분석했습니다. 또한, 기업가들은 사업 초기 단계에서의 높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협력하여 성장을 도모합니다. 핵심은 공동체를 위한 공간입니다.

Today, young entrepreneurs in a generation called “Native” and they have identified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lso, they have come up with a program that combines the cause of the high failure rates of early entrepreneurs with their needs depends on the stages of their growth. The key point is space for the community.





Community Space

젊은 기업가들을 분석하여 그들의 강점을 가지고 그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하나의 공간에서 살고, 일하고 놀 수 있는 공간입니다.

Utilize the programs through analysis of young entrepreneurs, take their strengths and reduce their shortcomings. They will live, play and work in this space,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a successful
start-up.

공용 및 커뮤니티 단위가 코어 주위에 배치되었으며 사용자가 커뮤니티 공간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주거 유닛으로 가는 동선과 자연스럽게 연결했습니다.

Common and community units were placed around the core and made the natural movements into the next dwelling unit to ensure that the user passed through the community space.

아래층으로 내려 가면 넓은 층에 전용 테라스 또는 공용 테라스가 있습니다. 거주하는 기업가들 간의 다양한 소통을 가능하게하여 서로 학습하고 협력할 수 있는 장소가 됩니다.

Going to the further downstairs, the wider floors appeared with a private or shared terrace. This composition influences
to enable a lot of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ial entrepreneurs, thereby learning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Dwelling Units

젊은 기업가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형태입니다. 활용 영역을 확인했습니다. 목표는 주거공간을 최소화하고 공공 및 지역사회를 위한 공간을 최해대화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늘림으로써 더 많은 협력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The essential furniture for one’s life was selected. I checked the utilization area of the furniture and made a single house accordingly. The goal is to maximize public and community spaces by minimizing residential spaces. This will encourage more cooperation by increasing usage community spaces.





Design

건물 외부의 공간에 더 많은 햇빛이 들어 오도록 각기 다른 방향으로 높이가 다릅니다. 사람들이 테라스로 나가는 유리문을 제외한 창문을 통해 햇빛이 잘 들어 오도록 조정되었습니다.

It has different elevations in different directions to allow more sunlight to enter the living spaces outside the building. The windows, except for the glass doors that people go out to the terraces, have been adjusted to get good sunlight.





Credit
김석현 Seokhyun Kim
4학년 2학기 4th Grade Fall Semester Project
2017 SH 청년건축가 설계 공모전 수상작
SH Young Architect Competition_Honorable Mention

20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