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proposal reflecting the future of books
책은 사라질 것인가?
책의 미래를 반영한 도서관 제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용도 Program : 도서관 Library
대지면적 Site Area : 5,900㎡
건축면적 Building Area : 3,180㎡
층수 Floors : 지하3층, 지상3층
Agenda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초연결성이다.
Hyperconnection 기술의 발달은 정보 저장 및 전달의 매체를 다변화 시키며 편의를 증대시키고 있다.
정보의 매체로서 책의 미래, 나아가 도서관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다양한 미디어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 설계를 목표하고자 했다.
공공도서관의 시대를 앞선 변화는 문화체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민 간 정보 양극화 해소를 넘어서는 것이다.
대학로 공연문화의 소란함과 상업공간의 화려함 뒤에, 주민의 일상생활에 질적 향상을 통해 공공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념 Concept
대학로 근처의 동숭동은 공연문화와 상업공간, 학교와 공원 등 많은 맥락들이 얽혀있다. 이 곳에서 기존과 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외부인들이 아닌 주거민들과의 조화, 공공 복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시공간과 녹지를 연결하면서, 인근의 주거공간들과 어우러질 수 있는 매스형태가 컨셉이 되었다. 또한 multi-layered style을 통해 내부에서 공간, 시각적인 체험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도했다.


디자인 Design

모듈 Module

도면 Drawings

이미지 Images

등고를 고려한 동선에 따른 massing
중앙의 Atrium과 건물을 둘러싼 green space를 통해 내/외부적으로 연결을 강화하여 소통할 수 있다.
다양한 체험과 휴식이 가능한 conceptual library, book stack은 conventional library, Media room으로 프로그램에 따른 3개의 zone으로 나누었다. 내부에서의 연결과 독립을 교차하여 유연하게 계획되었다.
모형 Maquette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