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Study for Sharing Campus / Taehyun Kang

with Revisable Facility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성균관대학교
용도 Program : 연구소 Educational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6,800㎡
건축면적 Building Area : 4,035㎡
층수 Floors : 지상 6층









Agenda

산업계 전반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무대를 옮겼다. 2020년 펜데믹은 이를 가속화 시켰고, 대다수의 기업들은 온라인 시장에 집중투자하고있다. 그렇다면 지성의 요람, 대학은 어떨까.

오프라인의 공간을 유지하는 데는 초기투자비, 운영관리비용이 적지 않게 투입된다. 메인스트림이 온라인 위주로 가는 만큼 더이상 실공간을 넓게 필요로 하지 않고, 온라인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단순히 편의 외에도 대학에게 경제적으로 이득이다.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는 이유가 이런 맥락에 따른 것이다.

공유도시(2017 서울도시 비엔날레의 주제) 개념을 바탕으로, 인간행태 분석과 건물 분석 리서치를 진행했다. 그 결과, 대학이 지역 주민에게 소셜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 이윤 추구의 정상적 흐름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런 결론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설계가 시작되었다.






대상지 Site

소셜 인프라를 어떻게 대학 부지에 녹일 수 있을까. 이 고민을 가장 메인에 두고 사이트 분석을 실시했다.






프로그램 Program

1. 프로그램 분석과정에서는 로컬과 캠퍼스의 ‘접점’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했다. 그래서 배경 각각과 인간행태를 축으로 정했다. 가로축에는 배경(대학 캠퍼스-하단, 지역사회-상단), 세로축에는 인간행태를 적었다.

2. 축에 큰 줄기의 분류를 적고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그리드 위에 그렸다. 가로: 생산-체험-마케팅/ 세로 : 유통-소통-제작 으로 카테고리를 나눴다.

3. 각 그리드 만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프로그램을 그대로 쌓으면서 적었다.

4. 그 결과 특정부분 몰려있는 프로그램을 발견했고, 그것을 정리해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했다.






개념 Concept

지역 사회와 학교가 만나는 결절점에 위치한 프로그램들, 이들이 디자인의 키가 됐다. 프로그램 분석 다이어그램을 바탕으로 각 그리드에 생긴 도형들을 그대로 차용해, 직관적으로 도면화 시켰다.
*아래 공간구성 카테고리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 Design

다이어그램에서 색깔이 들어간 덩어리는 땅에 붙은 건물이고, 작은 도형들은 모듈로 천장 트러스에 매달았다. 크게 세 동의 건물이 서있고, 각 동 천장에 달린 공간모듈은 플렉서블하게 움직인다는 개념이다. 각 모듈은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조합에 따라 다르게 이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간의 관계가 변할 때마다 베리에이션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각 모듈을 디자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Program with Section A






공간구성 Drawings

1F program diagram
1F plan
2F program diagram
2F plan
3F program diagram
3F plan
Section A
Section B






재료 Material

Facade module with Section A
Material Composition






디테일 Detail

Detail Section 1; Wall Facade + Atrium Facade
Detail Section 2; Wall Facade






지속가능성 Sustainable Office System

MEP System with Basement Floor Plan
Passive Heating and Cooling
Facade Performance-1 ; 3-layer ETFE + BIPV Panel
Facade Performance-2 ; 3-layer ETFE + BIPV Panel






이미지 Images






credit

강태현 Taehyun Kang
3학년 1학기 3rd grade 1st semester
2020

3 thoughts on “ 429. Study for Sharing Campus / Taehyun Kang ”

  1. 안녕하십니까 저는 인천대학교 건축학전공으로 재학 중인 고기훈이라고 합니다. 작품 정말 잘 봤습니다. 같은 학년이지만 많이 자극받게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특히 프로그램 분석과정에서 제시하신 인간행태-배경 다이어그램은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글씨가 잘 안 보이지만 축선정 자체부터 정말 참신하고 합리적인 다이어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실례가 안 된다면 포트폴리오 자료를 받아서 작품을 좀 더 크게 보고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