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 Urban Jangdokdae Project / Gachi Lee

우리의 삶에 장독대가 사라졌다.

오랜기간동안 ‘장’은 우리의 식문화를 책임졌다. 그렇기에 우리는 대대손손 손없는 날을 골라가며 ‘장’에 매년의 행운을 담았다. 이런 민족에게 장독대가 사라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이것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의미하진 않을것이다.

대부분의 청춘을 좁은 공간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은 날마다 먹는 ‘장’ 마저 공장이 만들어주는 공산품에 의지한다. 이렇게 우리는 여유로운 공간과 시간을 포기했다. 청춘들이 장독대를 되찾는다는 것은 여유로운 공간과 식문화를 되찾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까. 이제 우리는 새해가 밝아오면 지난해 정성들여 기른 곡식을 들고 도심 장독대를 찾는다.

credit

도심 장독대 프로젝트 Urban Jangdokdae Project
이가치 Gachi Lee
5학년 Thesis Project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