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12. 명당 : 명동마당 / Doeui Ryu + Nayeon Jung


Introduction

위치 ㅣ서울 중구 명동길 43
용도복합문화공간
대지 면적 ㅣ3,816㎡
층수 ㅣB4F ~ 2F



Location ㅣ43, Myeongdong-gil, Jung-gu, Seoul
Program Cultural Facility
Site Area ㅣ3,816㎡
Floors ㅣB4F ~ 2F






Agenda

명동은 하나의 백화점이다. 명동은 조선시대부터 많은 역사를 거치며 금융업, 패션사업, 종교, 문화예술이 혼재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도심 상권이 되었다. 하지만 너무 높은 상업성 때문에 한 번 높아진 밀도는 다시 낮아지지 않았고, 녹지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사람들이 머무르지도 교류하지도 않으면서 명동은 정말 쇼핑만 하는 재미없는 백화점이 되었다. 우리는 명동의 높은 밀도 속 보이드, 상업공간 속 놀이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어우러지게 하는 마당을 계획했다.

코로나19로 명동의 상점 공실률이 높아졌지만, 2022년 기준 코로나19는 완화되고 있기에 명동은 다시 관광객들을 받을 준비를 해야 한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코로나19로 주춤했던 명동을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명동 상권 활성화, 더 나아가 활기있는 명동이 지속되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건축적 대안을 제안한다.


Myeongdong is a department store. Myeongd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commercial district in Korea since the Joseon Dynasty, where financial, fashion, religion, and culture and arts are mixed. However, the commerciality was so high that the density once increased was not lowered again, and the green space was not created. Because of this, people who visit Myeongdong do not stay or interact, so Myeongdong has become a boring department store where they only shop. We planned a yard where various people harmonize by providing a void in the high density of Myeong-dong and a play area in the commercial space of Myeongdong.

Although the store vacancy rate in Myeongdong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as COVID-19 is easing as of 2022, Myeongdong should be prepared to receive tourists again. Through this project, we analyze and reinterpret Myeongdong, which has slowed down due to COVID-19, and propose an architectural alternative to revitalize the Myeongdong commercial district and further establish an environment in which active Myeongdong continues.








Site

오늘날의 명동은 사람들간의 소통이 부족한 곳이다. 그 원인은 빠른 이동성, 높은 밀도 그리고 녹지 부족에 있다.

Today, Myeongdong is a place where people lack communication. The causes are fast mobility, high density and lack of green space.


Issue1. 빠른 이동성
명동을 방문하는 대부분 사람들은 쇼핑객이고, 그들은 쇼핑이 끝나면 금세 떠나버린다.

Issue2. 높은 밀도
명동의 대부분의 건물들은 40년 이상 노후화된 건물들이다. 신축의 경우, 건축법에 맞게 더 작은 건물을 지어야한다. 따라서 상업성이 높은 명동에서는 리모델링 위주의 건축만이 이루어져 왔고 이는 오늘날 명동의 높은 밀도를 만들어냈다.

Issue3. 녹지 부족
명동의 유일한 녹지인 명동공원은 명동의 방문객들을 수용하기에는 터무니없이 작은 크기이다. 명동 성당과 중국대사관 앞에도 공지가 마련되어 있지만, 두 경우 모두 방문객들이 편안히 오래 머물기에는 부적합한 공간이다.


Issue1. Fast mobility
Most people who visit Myeongdong are shoppers, and they leave quickly after shopping.

Issue2. High density
Most of the buildings in Myeongdong are older than 40 years. In the case of new construction, smaller buildings should be built according to the building law. Therefore, in Myeongdong, which is highly commercial, only remodeling-oriented architecture has been carried out, which has created the high density of Myeong-dong today.

Issue3. Lack of green space
Myeongdong Park, the only green area in Myeongdong, is small to accommodate visitors. There are also green spaces in front of Myeongdong Cathedral and the Chinese Embassy, but in both cases, it is not suitable for visitors to stay comfortably for a long time.







Concept&Strategies


명동의 문제점 및 이슈 분석을 통해 기존의 명동에서는 쇼핑객, 종교인, 금융인 등 명동의 방문객들이 서로 교류하고 소통할 기회가 부족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이 놀이와 쉼이라는 매개체로 모여 어우러질 수 있는 명동 마당, 명당을 계획했다.

Through the analysis of Myeongdong’s problems and issues, it was found that existing Myeongdong lacked opportunities for visitors to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cluding shoppers, religious people, and financiers. Therefore, Myeongdong Madang and Myeongdang were planned where people could gather and harmonize through the medium of play and rest.







Strategies

공간적 전략 Spatial Strategy



명동에는 누구나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밀도가 높은 명동 중앙에 보이드를 만들고자 한다. 명동의 중심부를 비워낸 후 지하에 놀이 시설을 배치하고 지상에는 공원을 조성한다. 이러한 보이드 전략을 통해 명동에 쉼표를 찍어주고, 사람들이 잠시라도 머물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Myeongdong needs an open space that anyone can access comfortably. So we would like to create a void in the center of Myeongdong, which is dense. After emptying the center of Myeongdong, amusement facilities are placed underground and a park is created on the ground. Through this void strategy, a comma is stamped in Myeongdong and a space for people to stay and interact even for a while.




프로그램적 전략 Programmatic Strategy

1960~70년대의 명동 상인들은 명동을 하나의 큰 백화점이라 표현했다. 이것이 이어져 오늘날에도 명동은 쇼핑객들의 성지다. 그런데 최근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오프라인 상점은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이에 명동 상권도 위축되고 있다.

명동의 상업 공간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 어떤 공간이 필요할까? 백화점들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흥행하는 백화점들은 고객에게 쇼핑 공간뿐만 아니라 놀이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려 노력함을 알게되었다. 이런 놀이 공간은 방문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며, 자연스럽게 백화점의 매출을 높인다. 따라서 명동 내에 쉼과 놀이의 공간이 생긴다면, 명동의 방문객이 증가하고 더불어 주변 상권도 활성화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Retailers in Myeongdong in the 1960s and 1970s described Myeongdong as a large department store. This continues, and even today, Myeongdong is a sacred place for shoppers. However, with the recent activation of online shopping, offline stores are naturally decreasing, and Myeongdong commercial district is also shrinking.

What kind of space will be needed for Myeongdong’s commercial space to become more a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department stores, it was found that successful department stores try to provide customers with enough shopping and play areas. These play areas increase customer stay time by providing visitors with a differentiated experience, and naturally increase department store sales. Therefore, if there is a space for rest and play in Myeongdong, the number of visitors to Myeongdong will increase and the surrounding commercial districts will be activated.






Program


놀이 프로그램으로는 명동의 다양한 방문객들이 함께 쉽게 즐길 수 있는 놀이를 선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세 가지 매개체를 정하여 각각에 적합한 놀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맨손으로 할 수 있는 놀이로 클라이밍, 도구를 이용한 놀이로 스케이트보드,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소통할 수 있는 놀이로 E-sports를 선정했다.

세 가지 놀이 시설은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놀이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마당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층을 아우르는 보이드 공간은 각 층에 위치한 사람들 간의 소통이 가능하게 하며 모든 층의 사람들과 클라이밍 프로그램의 시각적 연결을 유도한다.


As a play program, it was intended to select a play that can be easily enjoyed by various visitors in Myeongdong. In addition, three mediums were selected and each suitable play was analyzed. As a result, climbing was selected as a game that can be played with bare hands, skateboarding as a game using tools, and E-sports as a game that can communicate without direct contact.

The three amusement facilities are arranged around the yard. People who do each play activity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ADANG. In addition, the void space that encompasses three floors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located on each floor and induces visual connections between people on all floors and climbing programs.




1 climbing space


사람들이 바라볼 수 있는 보이드 공간에 다양한 경사와 형태로 이루어진 거대 클라이밍벽을 계획했다.

A huge climbing wall consisting of various slopes and shapes was planned in a void space where people could see.



2 skateboard space

스케이트보드 시설은 스케이트보드 파크와 초보자를 위한 평지, 별도의 트레이닝 존으로 구성된다.

The skateboard facility consists of a skateboard park, a flatland for beginners, and a separate training zone.



3 e-sports space


컴퓨터가 줄지어 배치된 PC 방과 달리, 명당의 E-sports 공간은 사람들이 마주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2m(개인공간)~3.6m(사회적공간)의 범위에서 게이밍 모듈을 계획했다. 게이밍 모듈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트레이닝 및 매치가 진행될 수 있다.

Unlike PC rooms where computers were arranged in rows, the E-sports space in Myeongdang wanted to plan a space where people could face and enjoy games. To this end, a gaming module was planned in the range of 1.2m (personal space) to 3.6m (social space). The gaming modules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to perform training and matching.





Mass Design


  1. 좁은 골목 같았던 사이트 북쪽의 도로를 9m 도로 및 인도로 확장하고, 그 외의 공간은 건축 한계선과 건폐율을 고려하는 선에서 최대한 넓은 그린스페이스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2. 그린스페이스를 들어 올림으로써 지붕에 공원을 조성하는 동시에 넓은 지하공간을 확보한다. 이는 명동에 필요한 공원과 빈 공간을 제공한다.
  3. 매스의 중앙에는 보이드를, 주변부에는 선큰 공간을 조성한다. 이는 건물 지하 깊은 곳까지 자연광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환기가 가능하게 한다.
  4. 설정한 콘셉트에 따라 세 가지 놀이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이 프로그램들의 중앙에는 보이드와 마당이 위치하며, 주변에는 보조 시설들이 배치된다.
  5. 사이트의 지형을 활용하여 스킵플로어를 형성한다. 형성된 모든 슬라브를 연결하는 보행 동선을 통해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나선형 주차 동선은 코어와 마당에 접근하기 좋은 드롭-오프존을 가진다.


    1. The road north of the site, which was like a narrow alley, was expanded to 9m roads and sidewalks, and other spaces were allowed to have as wide a green space as possible in terms of building limits and building and closing rates.

    2. By lifting the green space, a park is created on the roof while securing a large underground space. It provides the parks and empty spaces needed in Myeong-dong.

    3. A void is created in the center of the mass and a large space is created in the periphery. This allows natural light to enter the deep underground of the building and enables ventilation.

    4. Three play program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cept set. A void and yard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se programs, and auxiliary facilities are placed around them.

    5. Use the topography of the site to form a skip floor. The program can be easily accessed through a walking path connecting all the slabs formed, and the spiral parking path has a drop-off zone that is good for access to the core and the yard.





Drawings

Roof Plan
1F Plan
B1F Plan
B2F Plan
B3F Plan
B4F Plan






Images







Maquette

500:1 Concept Model
200:1 Section Model 1
200:1 Section Model 2
200:1 Section Model 3







credit

류도의 Doeui Ryu + 정나연 Nayeon Jung
4학년 1학기 4th Grade Spring Semester Project
2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