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L UP VOID
이태원 활성화 프로젝트 – 도시재생 프로토타입 제시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131-34 일대
용도 Program : 청년창업 공유주거 Residential
대지면적 Site Area : 5,500 m²
건축면적 Building Area : 1,806 m²
층수 Floors : 지상 4층
대상지 Site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온 도시를 어떻게 재생시킬 것인가?’
비움이라는 방법으로 ‘터’를 살리고 프로그램이라는 무늬를 씌운다. 여기에서 비움은 프로그램을 비운다는 뜻이면서 동시에 방법적인 비움을 뜻한다.

서로 다른 성격의 도시들, 그 도시를 이루는 서로 다른 성격의 건물들, 그 건물들을 이용하는 서로 다른 성격의 사람들을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본질인 ‘터와 무늬’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터와 무늬(Texture on Site)’는 오랜 시간 동안 땅의 모양을 나타내는 지적(地籍)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시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땅의 특성인 지적도의 라인을 따라서 그 모듈을 나누고 그 각각의 모듈에 특성을 부여한다.

- 재생 주요 활성화 구역
: 교차로, 길과 접해 있는 구역을 선정하여 지역 내에서 가장 접근성이 좋은 구역. 프로젝트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역으로 크게 완전 보존하는 건물에 연결되는 일부 리모델링 건물, 노후화된 건물 대신 신축하는 건물로 나뉜다. - 건물을 비워낸 광장화 구역
: 1층 부분이 오픈되어 있거나 하나의 지적의 크기가 넓은 구역이다. 문화적인 역할에 더욱 비중이 있는 구역 - 기존 건물들을 유지하는 구역
: 기존의 건물들을 유지하여 기존의 프로그램들을 보존하고 재생되는 주변 구역들과의 연결성에 집중하는 구역 - 건물을 비워낸 녹지화 구역
: 방치되어 있는 공터, 아무런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 공간, 불법으로 이용되는 주차공간을 포함하는 구역 - 기존 건물들을 연결하는 구역
: 간단한 연결성의 부분을 더하여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구역
커뮤니티 박스 Community Box
수직 이동 동선의 역할을 하는 솔리드한 부분의 슬라브를 다양한 레벨로 분할한 뒤, 수직 이동동선의 역할을 하는 계단으로 연결시킨다. 기존의 단조로운 수직동선을 다양한 레벨로 분절시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한다. 수직 이동동선으로 인해 버려지는 빈 공간에 ‘도서관’이라는 프로그램을 가지는 책장을 사이공간에 채운다.

쇼룸 디자인 Showroom Design
접근성이 떨어지는 기존 건물의 가운데 부분의 공간을 비워내 외부 공간인 ‘길’로 바꾼다.

지붕 골목길 Connect Void
기존의 박공지붕 형태의 입면은 유지하면서 그 옥상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평지붕화 시켰다. 그리고 각각의 옥상공간을 연결하는 Bridge를 설치했다. 기존 건물들의 고밀집도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모듈을 비워내고 그 비워진 공간에 녹지 역할을 하는 도심농업, 정원의 프로그램을 채운다.

단지 구성 Composition of Site
크게 사무적 프로그램(오피스, 스튜디오, 미팅룸, 공동작업실, 공방)과 공유적 프로그램(도서관, 오디토리움, 공원, 광장) 그리고 사적 프로그램(주거)로 분류하여 배치한다.





도면 Drawing

15m 보광로와 접하는 구역으로 이태원역으로부터 오는 동선, 앤틱가구거리로부터 오는 동선 그리고 이태원 퀴논길과 연결되는 동선들을 받아들이는 구역으로 상가, 쇼룸, 전시 등 수많은 창업 직종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업무지구의 프로그램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 업무적 공간
: 스튜디오 / 오피스 / 공방 - 휴식공간
: 도서관 / 오디토리움 / 광장 / 공원 - 상업공간
: 상가, 쇼룸, 전시


공유주거 프로젝트는 크게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으로 구분하였다.
- 외부공간
: 복도의 공간을 비워냄 - 내부공간
: ‘방의 공간’은 각각이 하나의 1인 주거 모듈, 공적 공간(공유적 프로그램들을 담아내는 역할)
모형 Maquette




전과 후 Before & After
기존의 상권들이 떠난 자리에 새로운 활력인 청년창업 공유주거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창업지원사업은 2019년 기준으로 총 예산이 1조 1천억원이 넘는 사업으로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많은 참여로 인한 활력을 기대할 수 있다. 사업지구와 공유주거지구 둘로 이루어진 하나의 지역 안에서 생산과 소비 모두 일어날 것을 기대한다. 작업공간이 그것을 소비할 수 있는 시장과 바로 연결되어 높은 회전율을 기대한다.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