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7. GOMOKU / Seon-gyu Han

GOMOKU : 이분법의 해체
요소추출을 통한 역공간의 실험설계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6,225 m²
건축면적 Building Area : 4,560 m²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4층






개념 Concept

현대의 수많은 곳에 자리잡은 현상과 공간들에서 경계에 대한 논의는 필수불가결하다. 경계와 반대되는 단어인 모호함의 고찰을 통하여 현대공간을 재해석하고 가능성을 모색한다.

These are the phenomena and spaces of many modern plac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ambiguity, the word opposite to the boundary, we reinterpret the modern space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경계공간의 모호성(ambiguity at the edge)은 사람이 자기 의지대로 이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움직이는 것을 결정하는 동안 서성거리는 데에 필요하다. 가시성은 강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멀리 보이는 연속된 공간은 사람을 앞으로 이끌게 한다.

Kevin Lynch




검정색이 아니라고 흰색인 것은 아니며, 흰색이 아니라고 바로 검정색인 것도 아니다. 그래서 검정색이 아닌 것(not-black)이 있고 흰색이 아닌 것(not-white)이 있다. 검정색이 아닌 것(not-black)과 흰색이 아닌 것(not-white) 사이에 중립적인 무엇(neither black nor white)이 있다.

Rosalind Krauss




자본주의의 발생으로 공적공간은 진정한 의미를 잃었다. 경제적 생활이 우선순위가 되면서 공적공간이라고 불렸던 공간들은 무의식적으로 소비를 촉진하는 disneyfying-space가 되었다.

Michael Sorkin



발전된 기술로 세계와 소통하는 닫힌 박스 안의 개인들과 휴대전화 하나 없이 복도를 돌아다니는 개인들은 공과 사, 어디에 속해 있는가?
많은 학자들은 교통과 기술의 발전으로 세상은 다원화가 발생하였고 이는 곧 공과 사의 개념에서도 흑과 백의 이분법적인 개념은 수많은 현상과 공간들을 설명하기엔 역부족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연구하였다.
그런 연구들은 경계가 허물어진 상태를 뜻하는 ‘역공간’에 대한 얘기를 공통적으로 담고 있는데, 이는 이분법의 해체를 뜻하는 동시에 경계선이 뚜렷한 상태일 때의 두 영역이 각자 가지고 있는 요소를 해체하여 영역이라고 불리던 것들을 다층적이고 심층적인 이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Where are the individuals in the closed box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the individuals who walk around the hall without a cell phone? Many scholars have recognized and studie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echnology that the world has become plural, which is not enough to explain a number of phenomena and spaces. Such studies have a common story about ‘inverse space’, which means a state where the boundary is broken, which means the dissolution of the dichotomy, and at the same time, it dissolves the elements of the two areas when the boundary is clearly defined. Called the necessity of a multi-layer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what was called.







대상지 Site



그런 의미에서 이태원은 실험하기에 가장 풍부하고 적합한 인프라를가지고 있는 곳이다. 성당이 자리잡은 곳 옆에는 이슬람 사원이, 그 옆 골목에는 게이바가, 길 하나를 건너면 초등학교가 있다.
In that sense, Itaewon is the place with the richest and most suitable infrastructure for experimentation. The mosque is next to the mosque, the alley next to the gay bar, and across the street is the elementary school.

뚜렷한 선을 그어 거리를 두어야 할 사람들이 골목길 하나를 끼고 같이 살아아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그 골목길에서는 자신이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어떤 소통도 일어나지 않는다. 물리적으로는 가족만큼 가깝지만, 심리적으로는 누구보다 먼 아이러니한 사람들이 모호한 경계를 통해서 소통이 일어나기 시작한다면, 경리단길의 복제(송리단길, 황리단길, 망리단길, 객리단길 등)와 프랜차이즈의 유입으로 죽어가는 이태원의 숨을 불어넣어 줄 사람들이 되어줄 것이란 생각에 이태원을 사이트로 정했다.

It is a place where people who have to draw a distinct line to live together along an alley. But in the alley, no communication takes place except for those who think they are the same. Physically as close as a family, but psychologically farther than anyone, if communication begins to occur through blurry boundaries, then the replication of the Gyeongridan-gil (Songnidan-gil, Hwangridan-gil, Mangridan-gil, Gaekridan-gil, etc.) and the influx of franchises Itaewon was chosen as the site because he thought he would be the people who breathe dying Itaewon’s breath.




프로그램 Program

프로그램은 서점형 도서관으로, 도서관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프로그램의 유지를 위해 자본주의를 끌어들여야 한다는 현실과, 책의 핵심요소인 언어는 사용자간 경계를 형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수단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인 소재였다.

The program is a bookstore-type library, which has attracted capitalism to maintain the program as the demand of the library decreases, and language, the core element of the book, is an attractive material in that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forming the boundaries between users.

현대인들은 개인 중심의 활동을 기반으로 삶을 꾸려나간다. 그런 의미에서 도서관은 개인적인 행위를 위해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며, 그것이 사람들과의 교류로 이어질 수 있다. 프로그램은 서점형 도서관으로, 도서관 사용자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프로그램의 유지를 위해 자본주의를 끌어들여야 한다는 현실과 언어라는 책의 핵심요소인 언어는 사용자간의 경계와 교류를 동시에 형성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Modern people build their lives based on individual-centered activities. In that sense, the library is a program that creates access to personal activities, which can lead to interaction with people. The program is a bookstore-type library,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fact that language needs to attract capitalism to maintain the program as the demand of library users decreases, and language, which is a key element of the language, forms the boundary and exchange between users.

설계 Design

설계에서는 크게 건축과 오브제, 자연과 인공자연, 개인과 개인(혹은 집단과 집단)등 이분법적으로 분할된 두 성격이 만나면서 생겨나는 경계공간을 역공간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오브제가 건축에 섭입하는 모양새가 건물의 구조(기둥)가 가지고 있는 성질 중 구조적인 역할을 제외한 동선의 유도, 시각적 차단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기둥이 가지고 있는 물성 중 구조적인 역할을 제외한 부분을 해체하고 오브제와 함께 재구성하여 결과를 보고자 하였다.

In the design, I wanted to see the boundary space created by the two dichotomys of architecture and objects, nature and artificial nature, and individual and individual (or group and group) as inverse space. Since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pillar) can take the role of induction and visual interception except for the structural role, it dismantles and reorganizes it with the object. We wanted to see the results.






오브제 Object

흰 색으로 된 것이 오브제, 나무로 된 것이 건축이다.
Objects in white are objects, and architecture is in wood.

조각(오브제)의 정의가 모호해졌다면 그것이 건축의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작용한다면 건축이 조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오브제로서의 건축과 건축으로서의 오브제가 생겨날 수 있다.
If the definition of sculpture is obscure, it can act as an element of architecture, and if so, architecture can also play the role of sculpture. An architecture as an object and an object as an architecture can occur.



credit

한선규 Seon-gyu Han
5학년 Thesis Project
2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