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Show-ping Center / Wonjae Kim

유통흐름에 따른 상업공간의 건축적 변화 제안
유통공간의 물리적 필요성이 사회, 문화, 경제적인 변화로 줄어드는 지금 건축은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고 새롭게 요구될 공간은 무엇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
용도 Program : 상업시설 Retail
대지면적 Site Area : 6,832㎡
건축면적 Building Area : 13,690㎡
층수 Floors : 지하 4층, 지상 5층






Agenda

유통공간의 물리적 필요성이 사회, 문화, 경제적인 변화로 줄어드는 지금 건축은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고 새롭게 요구될 공간을 무엇일까.






개념 Concept

과거에 구상되어진 이 전시장의 스케치에서 각 레이어들은 공간으로서 전시되며 서로 대응하고 연결되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앞서 보았던 여러 상업공간의 동선들은 공간의 특성마다 강조되어지는 부분이 조금씩 다르나 공통적으로 기존의 Shopping이라는 행위의 공간을 Showcase와 동선으로 구성하며 연결한다. 지금까지 오프라인 유통망의 감소로 앞으로 유통업계의 변화에 주목해 ‘유통업 흐름에 따른 유통상업공간의 건축적 변화와 제안’이라는 주제로 Show의 개념을 강조한 보여지고 전시되는 체험적공간의 동선적 안내의 연결을 가지고 공간을 구상한다.






대상지 Site

신촌은 과거부터 서울중심과 서부를 연결하는 사람과 물자의 경유지이자 중심지였다. 한때 문화부흥과 함께 문화중심의 역할을 했으나 시간이 흐르며 홍대나 서울 곳곳으로 퍼졌고 현재 교통의 중심과 상업중심지의 역할을 한다. 신촌중앙로 차없는 거리의 시행으로 환경을 개선하여 여전히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물류와 상업의 중심지이다.






디자인 Design

매스 공간들은 다양한 성격을 가지며 쇼룸, 상점, 오피스, 공유주방, 식음료점, 푸드코트, 전시공간 등의 다용도로 활용되며 필요에 따라 증축, 수선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공간들은 복도, 브릿지, 에스컬레이터 등으로 연결되며 서로 대응하며 연결성을 가진다. 매스외의 공간은 건물 전체적으로 연결되며 아트리움 공간이 생겨나고 로비, 마켓 등의 열린공간으로 사용된다.






프로그램 Program

앞으로의 요구를 반영한 온라인과 차별화된 오프라인의 이점을 극대화한다. 직접 보고 체험가능한 공간, 오프라인으로 물건을 보고 온라인으로 구매를 독려하는 홍보전략도 가능하다. 또 누구에게나 열린 판매공간은 개인판매자, 소규모 사업자에게 단기간 공간임차를 통해 제품을 홍보, 판매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마켓, P2P 공간이 가능하며 분기별로 테마와 주제가 변화가능한 공간이다. 기존 대형화된 마켓과 백화점과는 다른 분야와 타겟팅으로 상생이 가능하다.






도면 Drawings






이미지 Images






모형 Maquette






credit

김원재 Wonjae Kim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