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2. 일상위로 / Hongik Kim

현대인의 우울증, 스트레스 치료를 위한 주거타입 제시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
대지면적 Site Area : 6,593㎡
건축면적 Building Area : 3,208㎡
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8층









Agenda

지난 10년간 OECD 자살률 1위, 한국. 자살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울증, 스트레스 등의 정신과적 문제가 상당수 차지합니다. 그 중 대부분은 후천적요인으로, 초기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정신병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자살과 같은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번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우울증의 주거치료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위로가 어려운 시대, 삶과 죽음 사이 여러분의 일상은 어떤 모습인가요?






대상지 Site

홍제 3주택 재건축 사업 시행으로 인왕아파트(1968-)와 안산맨션 아파트(1974-)는 곧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나 슬럼화로 공실률이 높아지는 이 곳에서 재건축 정비사업이 빠른 속도로 추진될 지는 의문입니다. 프로젝트는 이 재건축 단지에 새로운 공동주거 타입을 제시합니다.

사이트가 위치한 서대문구 홍제동의 모습






디자인 Design

다양한 심리치료 방법 중 공간접목이 가능한 4가지(공간치료, 빛치료, 원예치료, 대인관계치료)를 택해 디자인에 반영했습니다. 각각의 치료방법은 상호작용하며 주거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죽어가는 나무에 새로운 가지를 덧붙혀 살려내듯, 치료공간엔 새로운 공간이 덧붙여져야 합니다. 전원주택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썬룸을 차용해 이를 치료의 장으로 제안합니다.

기존 아파트의 형태는 독자적인 향, 지붕, 마당 모두를 가지기 어려웠습니다. 이런 요소를 보완하기 위해 중정과 독자적인 지붕을 가지는 썬룸을 테라스형태로 배치, 최대한 많은 모듈이 동등한 향을 가지도록 했습니다.

썬룸에선 원예, 조경을 비롯해 요가, 운동, 휴식, 수영, 명상 등 개인이 원하는 모든 활동이 가능합니다. 때론 프라이빗하게, 때론 중정과 연결해 어떤 활동이든 자유롭게 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Program

 ‘집’이란 현대인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누군가에게는 안식처일 수도, 가장 자기다운 공간일 수도 있습니다. 어떤 정의든 집이 ‘삶의 많은 시간을 담는 그릇’이라는 점은 모두 동의할 것입니다.
건물의 흐름은 공용공간에서 가장 개인적인 썬룸공간으로 향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개인적인 공간이 가장 공용적인 마당으로 향하면서 폐쇄적인 개인공간을 탈피해 일상 속에서 자연스레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공간을 의도했습니다. 

각자의 동굴인 개인공간보단, 같은 동굴이라도 블랙 홀 속의 화이트 홀처럼 삶의 돌파구가 되었으면 합니다.






도면 Drawings

1F PLAN
3F PLAN
SECTION






모형 Maquette






credit

김홍익 Hongik Kim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