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18. 변화하는 문래, 변화하는 문화공간 / Soobin Lim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영등포구 문래동2가용도 | 양조장, 복합문화공간대지 면적 | 6300㎡ Location | Munrae-dong 2-ga, Yeongdeungpo-gu, SeoulProgram | Brewery, Complex cultural facilitiesSite Area | 6300㎡ Agenda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제와 오늘의 유행이 다른 지금, 문화를 담는 공간에 대한 요구도 빠르게 변화할 것이다. 건물이 필요에 따라 로봇처럼 변할 수 있다면 어떨까? 변화하는 […]

Read more "23018. 변화하는 문래, 변화하는 문화공간 / Soobin Lim"

23017. 소통;行(행)궁 / Dawon Jeong

Introduction 위치 |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수원화성박물관 부지용도 | 복합문화시설, 커뮤니티시설층수 | B2 – 3F Location | Site of Suwon Hwaseong Museum, 21 Changryong-daero, Paldal-gu, Suwon-siProgram | Community, mixed useFloors | B2 – 3F Agenda 대상지인 행궁동은 요즘 세대들이 흔히 말하는 ‘인스타 핫플’로 각광받고 있으며, 행리단길을 중심으로 화성 행궁과 성곽길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이 매년 꾸준히 […]

Read more "23017. 소통;行(행)궁 / Dawon Jeong"

23016. 술짠! / Aram Yu

Introduction 위치 | 서울 종로구 종로17길 40 일대용도 | 복합상업시설대지 면적 | 4,202.1㎡층수 | B2 – 3F Location | 40, Jongno 17-gil, Jongno-gu, SeoulProgram |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Site Area | 4,202.1㎡Floors | B2 – 3F Agenda ‘뉴트로’는 NEW와 RETRO의 합성어로, 겪어보지 못한 과거의 새로운 해석으로 옛 것에 대한 신선함을 일으키는 것을 일컫는다. 유행은 돌고 돈다는 […]

Read more "23016. 술짠! / Aram Yu"

23015. 초(록)일상 / Jeong Hyunji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종로구 종로6가 41길 일대용도 | 상업시설, 문화시설대지 면적 | 6,307㎡건축 면적 | 4,611㎡층수 | B2 – 3F Location | Jongno6-ga, Jongno-gu, Seoul, KoreaProgram | Commercial, CultureSite Area | 6,307㎡Building Area | 4,611㎡Floors | B2F – 4F Agenda 2010년 종로 특화거리 사업의 일환으로 종로 5-6가 대로변에 산재해 있던 노점상들을 한 골목에 옮겨 […]

Read more "23015. 초(록)일상 / Jeong Hyunji"

23014. CharCNIC / Jonghyun Park

Introduction 위치 | 용산구 한강대로 198 일대, 전쟁기념관 서측 선형부지용도 | 전기차 충전소대지 면적 | 8,200 ㎡건축 면적 | 31,500 ㎡층수 | B1 – 5F Location | 198 Hangang-daero, Yongsan-gu, linear site on the west side of the War Memorial of KoreaProgram |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ite Area | 8,200㎡Building Area | 31,500㎡Floors | B1 […]

Read more "23014. CharCNIC / Jonghyun Park"

23013. Susack Information Theque / Jihwan Roh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 261-1 일대용도 | 교육연구시설대지 면적 | 27,432㎡건축 면적 | 54,512㎡층수 | B1F – 7F Location | 261-1, Susaek-ro, Eunpyeong-gu, Seoul, Republic of KoreaProgram |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Site Area | 27,432㎡Building Area | 74,512㎡Floors | B1F – 7F Agenda 정보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석한 지식이다. 전문적인 […]

Read more "23013. Susack Information Theque / Jihwan Roh"

465. N2AF2U / Chaeyoung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211-7~18, 20~21 용도 | 상업시설 대지 면적 | 2,450 m2 (741.23평) 건축 면적 | 1,490 m2 (451.51평) 층수 | 1~6층 Location | 211-7~18, 20~21, Sungin-dong, Jongno-gu, SeoulProgram | CommercialSite Area | 2,450 m2 (741.23py)Building Area | 1,490m2 (451.51py)Floors | 1~6F Agenda 이 프로젝트는 어떤 방식으로 건축이 다양화 될 수 […]

Read more "465. N2AF2U / Chaeyoung Lee"

464. 파티오 불광 / Hyunjae Kim

Introduction 위치 | 서울 은평구 은혜초등학교(폐교)용도 | 커뮤니티 시설, 복합 시설대지 면적 | 6,712㎡건축 면적 | 2,900㎡층수 | B2 – 6F Location | Eunpyeong-gu, Seoul, EunhyeElementary School (closed school)Program | Community, mixed useSite Area | 6,712㎡Building Area | 2,900㎡Floors | B2 – 6F Agenda 어디서든 보이는 북한산, 1950년대부터 존재했던 낮은 집, 보행자 위주의 길을 간직한 불광동은 과거 주민들이 공동체와 커뮤니티를 이루고 살던 언덕 위 마을이다. 이 언덕 마을은 물리적인 높이로 인해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상업, 문화시설, 오픈스페이스가 부족한 상황으로 그로 인해 마을의 공동체 […]

Read more "464. 파티오 불광 / Hyunjae Kim"

463. 금천구 자원 순환 복합  / Taekjin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45-75 일대용도 | 자원처리시설 + 복합문화시설 + 체육시설대지 면적 | 21,569.72㎡건축 면적 | 12,941.83㎡층수 | B4 – 8F Location | 345-75 Gasan-dong, Geumcheon-gu, SeoulProgram | Resource processing + complex cultural + sports facilitiesSite Area | 21,569.72㎡Building Area | 12,941.83㎡Floors | B4 – 8F Agenda 단순히 가져와서 만들고 쓰고 버리는 […]

Read more "463. 금천구 자원 순환 복합  / Taekjin Lee"

462. 중랑구 문화예술 특수학교 Spectrum/ Yongheon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중랑구 중화2동용도 | 교육시설, 문화시설대지 면적 | 18,500㎡건축 면적 | 8,126㎡층수 | B2 – 4F Agenda 현대 사회에서 저출산 상황에 대한 문제는 부각되고 있지만, 그와 대비되는 특수교육개상자 수의 증가는 사회의 이면에 가려져있다. 사회적 약자가 계속 생기지만, 그만큼을 부양할 젊은 세대가 점점 줄어드는 방향이고, 이들의 자립성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

Read more "462. 중랑구 문화예술 특수학교 Spectrum/ Yongheon Lee"

456. form sang form sa / Chang Hyunoh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로 41용도 | 복합문화시설층수 | B2 – 4F Location | 41 singil-ro, Yeongdeungpo, SeoulProgram | Multiple Cultural FacailtiesFloors | B2 – 4F Agenda 사람에 의해 건물이 지어질 때, 남아있는 부분이 있냐 없냐에 따라 각각 리모델링과 신축으로 구분된다. 두 방식은 각각 필연적인 한계점을 가진다. 리모델링이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한 고민에서 벗어 […]

Read more "456. form sang form sa / Chang Hyunoh"

455. 웜토피아 / Daeun Kim

Introduction 위치 | 성수동용도 | 주거 대지 면적 | 8309㎡ 건축 면적 | 3792㎡ 층수 | B4F – 7F Location | Seongsu-dongProgram | residentialSite Area | 8309㎡Building Area | 3729㎡Floors | B4F – 7F Agenda 더 이상 결혼을 하지 않는 인구는 증가할 것이고, 정상가족이 해체되어 가족의 형태는 다양해질 것입니다. 1인 주거 또한 늘어나 외로움을 해소하기 […]

Read more "455. 웜토피아 / Daeun Kim"

454. CITEA PANORAMA / Suyeon Bak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116번지 일대용도 | 복합문화시설대지 면적 | 5480.2㎡건축 면적 | 3288.12㎡  Location | 13, Yangjaecheon-ro 7-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Program | Complex cultural facilitiesSite Area | 5480.2㎡Building Area | 3288.12㎡ Agenda ‘저 요즘 상담 받고 있어요.’ 라는 말을 듣고 담담하게 받아들일 사람은 한국에 많지 않다. 우리는 아직까지 마음을 돌보는 […]

Read more "454. CITEA PANORAMA / Suyeon Bak"

453. 소리의 공간화 / Jaeyoung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용도 | 문화복합시설 대지 면적 | 7718.6㎡건축 면적 | 4631.2㎡ 층수 | B2 – 3F Location | Itaewon-dong, Yongsan-gu, SeoulProgram | Cultural facilitySite Area | 7718.6㎡Building Area | 4631.2㎡Floors | B2 – 3F Agenda ‘Soundscape’, 경관, Landscape와 소리, Sound의 합성어이다. 건축에서 경관이란 요소는 심도있게 다뤄져오고 있으며 많은 발전이 있던 분야이다. […]

Read more "453. 소리의 공간화 / Jaeyoung Lee"

452. Plastic Factory / Yun So Jeong

Introduction 위치 |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127 일대용도 | 쓰레기 처리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외대지 면적 | 34,374㎡ 건축 면적 | 55,009㎡ 층수 | B2 – 2F Location | 127 Cheongna-dong, Seo-gu, IncheonProgram | Waste disposal facilities,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etc.Site Area | | 34,374㎡Building Area | 55,009㎡Floors | B2 – 2F Agenda 플라스틱은 20세기 초 […]

Read more "452. Plastic Factory / Yun So Jeong"

450. METROGISTIC / Jimin Yuk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동 일반 1 용도 | 물류시설, 업무시설, 문화시설대지 면적 | 20257㎡ 층수 | B2 – 4F Location | Ilban 1, Imun-dong, Dongdaemun-gu, SeoulProgram | Office, Logistics facilitiesSite Area | 20257㎡Floors | B2 – 4F Agenda 대한민국은 22개의 도시 권역에 인구를 포함한 생활권이 밀집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밀도가 높은 도심 내부에선 거대한 규모와 […]

Read more "450. METROGISTIC / Jimin Yuk"

449. Sports Culture Park / Sungyoun Park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1-21용도 | 체육 시설 대지 면적 | 6,899m2건축 면적 | 3,947m2 층수 | B1 – 4F Location | Hyehwa-dong 1-21, Jongno-gu, SeoulProgram | Sports FacilitySite Area | 6,899㎡Building Area | 3,947㎡Floors | B1 – 4F Agenda 스포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엘리트 위주의 스포츠에서 생활 스포츠로 꾸준히 변화해왔다. 이러한 사람들의 […]

Read more "449. Sports Culture Park / Sungyoun Park"

448. Church of Sharing / Heegun Chong

Introduction 위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400–0~7용도 | 종교시설대지 면적 | 4745.1㎡건축 면적 | 2,514.21㎡층수 | B2F – 4F Location | 400–0-7 Gugal-dong,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Program | Religious FacilitySite Area | 4745.1㎡Building Area | 2,514.21㎡Floors | B2F – 4F Agenda 우리나라는 교회로 포화 상태이다. 역사적으로 한 때 교회는 지역의 중심이었으며, 하나의 큰 커뮤니티로 우리나라의 […]

Read more "448. Church of Sharing / Heegun Chong"

447. Archive to Fragments / Ahlim Yoou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16길 5-7 일대용도 | 전시공간대지 면적 | 5032.1㎡ 건축 면적 | 2765㎡ 층수 | B3 – 4F Location | 5-7, Jahamun-ro,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Program | ExhibitionSite Area | 5032.1㎡Building Area | 2765㎡Floors | B3 – 4F Agenda 박물관은 오랫동안 권력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였다. 좌우 대칭의 평면을 기반으로 과시적인 외관을 […]

Read more "447. Archive to Fragments / Ahlim Yoou"

446. VALVE / Minjung Kim

Introduction 기존 공동주거 재해석을 통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공동주거 위치 | 서울 금천구 가산동용도 | 주거대지 면적 | 51497㎡건축 면적 | 19363㎡층수 | B2 – 10F Location | Gasan-dong, Geumcheon-gu, SeoulProgram | ResidentialSite Area | 51497㎡Building Area | 19363㎡Floors | B2 – 10F Agenda 팬데믹 이후 삶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재택근무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건강과 소비, 여가 […]

Read more "446. VALVE / Minjung Kim"

445. FACTORY Seongsu / Hyeongseok Seong

Introduction 위치 | 서울 성동구 연무장로 73 일대용도 | 공장, 상업시설, 공동주택대지 면적 | 8,087㎡ 건축 면적 | 4,620㎡ 층수 | 9F Location | Around Yeonmujang-ro 73, Seongdong-gu, SeoulProgram | factory, commercial, housingSite Area | 8,087㎡Building Area | 4,620㎡Floors | 9F Agenda 근대의 모더니티에 의해 분리된 개인은 다양하기 보다는 하나의 성격으로 수렴하게 된다. 우리는 저성장 시대를 맞이했고, […]

Read more "445. FACTORY Seongsu / Hyeongseok Seong"

440. Empathy in memory / Lee Dongyup

Introduction 위치 ㅣ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경원대로 1373용도 ㅣ 문화 및 집회시설 규모 ㅣ8,308.4㎡ Locationㅣ Gyeongwon-daero 1373 Area, Bupyeong-dong, Bupyeong districtProgramㅣ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Scaleㅣ 8,308.4㎡ Agenda 대중음악을 역사적 기억을 담는 노력 없이, 문화 산업적 용도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우리는 6.25 한국전쟁 당시 남북분단과 파편화된 역사의 슬픔과 아픔을 이겨내었던 대중음악 속의 역사와 시간들을 배우고 기억해야 한다. 음악 […]

Read more "440. Empathy in memory / Lee Dongyup"

437. Library of Experience / Kyeonglae Lee

Introduction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4-2 생활권 집현리용도 | 문화복합시설, 도서관대지 면적 | 14,320m2건축 면적 | 11,530m2층수지하 | 3층, 지상 9층 Location | Jiphyeon-li, 4-2 Living Sphere, Sejong-si, Republic of KoreaProgram | Multi Cultural Facility, LibrarySite Area | 14,320m2Building Area | 11,530m2Floors | B3 – 9F Agenda 도서관의 역사를 바라봤을 때 지금까지의 도서관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

Read more "437. Library of Experience / Kyeonglae Lee"

428. Pier H / Seungjae Ko

과포화 · 과밀화된 서울, 한강으로 시선을 돌려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Mix-used대지면적 Site Area : 59,0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13,800㎡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5층 대상지 Site 프로젝트는 과밀화된 땅에서 벗어나 강으로 시선을 돌려보자는 생각에서 시작했다. 육지가 아닌 한강 위의 문화공간을 디자인하고자 했다. 대상지는 광진구 구의동 일대. […]

Read more "428. Pier H / Seungjae Ko"

427. Under the Roof / Hyeonho Seo

변전소의 철탑을 활용한 문화상업시설은평구 수색동 지역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4만 제곱미터에 이르는 수색 변전소 부지는 2024년 지중화계획이 예정되어있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은평구 수색동용도 Program : 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 상업시설 Mix-used대지면적 Site Area : 26,570㎡건축면적 Building Area : 14,845㎡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3층 Agenda 서울 서부지역에 자리잡은 은평구는 신혼부부의 마지막 보루라고 […]

Read more "427. Under the Roof / Hyeonho Seo"

426. Rejuvenation; Waste to Culture / Hyunseung Moon

지역이기주의를 고려한 도심 속 친환경 에너지시설 제안혐오시설과 관련된 이슈에서 자본주의가 필연적으로 야기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당사자들을 욕하는 것은 위선에 불과하다. 우리도 피해자가 될 수 있고, 이미 피해자일지도 모른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광진구 광장동용도 Program : 폐기물 에너지시설, 전시시설대지면적 Site Area : 30,7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16,370㎡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

Read more "426. Rejuvenation; Waste to Culture / Hyunseung Moon"

425. 기술혁신 시대 복지의 공간적 접근 / Seokhyun Lee

다변화되는 요구에 대응가능한 공간 시스템 제안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의 기술혁신 시대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요구들이 생겨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문래동용도 Program : 복합 커뮤니티 시설 Mix-used대지면적 Site Area : 24.836㎡건축면적 Building Area : 9,971㎡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11층 Agenda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의 기술혁신 […]

Read more "425. 기술혁신 시대 복지의 공간적 접근 / Seokhyun Lee"

424. RE-CYCLE / Ilseop Jeong

폐공장을 통한 도시재생, 에너지 사이클도시 공장은 도시의 상징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따라서 공장은 변화를 통해 도시에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주변의 맥락과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공장의 모습을 제안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용도 Program : 연구시설 Research Complex,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30,652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0,437m²층수 Floors : […]

Read more "424. RE-CYCLE / Ilseop Jeong"

423. CONTENTS CONVERGENCE CENTER / Yujin Kim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문화공간 제안대지의 주변으로 생태공원들과 DMC빌딩들이 위치해 있다. 매스형태는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완만한 랜드스케이프와 높은 빌딩이 결합된 형태를 차용하였다. 매스의 형태는 주변 자연의 이미지와 디지털미디어시티의 역동성을 표현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37,262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21,371m²층수 Floors : 지하 3층, […]

Read more "423. CONTENTS CONVERGENCE CENTER / Yujin Kim"

422. CONDENSED EXPANSION / Yunho Shin

유수지를 통한 쇠퇴지역 재생 및 광장형 건축제안초 고밀화된 도시에서 공적 영토인 유수지는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땅이고, 거대한 도심의 보이드는 사람들을 끌어모으기에 최적화된 장소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594용도 Program : 복합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8,325㎡건축면적 Building Area : 10,995㎡층수 Floors : 지하 0층, […]

Read more "422. CONDENSED EXPANSION / Yunho Shin"

421. 행궁산책 / Jihee Seo

수원화성 산책로 형성을 위한 문화도서관 변화하는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제안으로서의 문화도서관이 가져올 장소적 가치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수원시 팔달구 영화동용도 Program : 문화기반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20,460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8,317m²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3층 Agenda 4차 산업혁명 이후에 책이라는 정보 매체의 가치하락으로 도서관 역시 도태될 거라고 예상되었지만 오히려 […]

Read more "421. 행궁산책 / Jihee Seo"

420. -×-=+ / Gayoung Shin

소외계층과 소외공간의 도시 속 만남 소외계층인 노인과 소외공간인 유수지가 서로를 상호보완하며 결합한다.노인은 사회의 능동적 주체로, 유수지는 도시 의 열린 공간으로서 지역 커뮤니티의 장이 될 것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금천구 독산동용도 Program : 커뮤니티 시설 Community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8,205㎡건축면적 Building Area : 4,323㎡층수 Floors : 지상 4층 Agenda 님비현상이란 공공 목적의 […]

Read more "420. -×-=+ / Gayoung Shin"

419. LIVERARY / Seungho Choi

새로운 정보열람 스타일을 제안하는 도서관매년 도서관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성인 연간 독서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어쩌다 성인 10명 중 4명이 1년에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게 되었을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용도 Program : 공공도서관 Library대지면적 Site Area : 16,899㎡건축면적 Building Area : 6,533㎡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

Read more "419. LIVERARY / Seungho Choi"

418. 도시의 또 다른 층; 공중 도시 / Now Kim

도시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제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중구 입정동 일대용도 Program : 일반상업시설 Mixed-use대지면적 Site Area : 16,9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14,150㎡층수 Floors : 지상 17개층 Agenda 이제까지의 도시재생은 기존 도시와 단절되고 지역 커뮤니티를 파괴하는 재개발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는 획일화에 따른 지역 정체성 상실과 전통의 외면으로 이어지고, 역사의 단절을 비롯한 여러 부작용을 드러내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메가스트럭처를 이용해 도시 인프라 역할에 대한 전통적 인식을 뒤집는다. 도시의 또 다른 층, 공중도시를 세워 도시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한다. 도시 환경 회복을 위한 미래형 도시재생은 어떤 모습일까. 대상지 Site 입정동의 매력은 을지로만의 역사적, 산업적 특수성과 예스러운 물리적 공간이 내는 시너지다. 초기 산업화 […]

Read more "418. 도시의 또 다른 층; 공중 도시 / Now Kim"

417. Skin Topography / Hazel Song

흔적에 담긴 시간의 재구성으로서의 건축땅은 피부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손상되고 변형되는 성격을 가진다. 땅에 남은 흔적은 시간과 환경의 변화를 물리적으로 간직한다 .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용도 Program : 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6,359㎡건축면적 Building Area : 10,345㎡층수 Floors : 지하1층, 지상0층 Agenda 피부는 개인과 환경사이의 연약한 경계면으로서, 긴 […]

Read more "417. Skin Topography / Hazel Song"

416. SKKU Community Sports Center / Joohee Kim

캠퍼스 발전과 지역 문화 활성을 위한 새로운 공간커뮤니티 스포츠 센터와 함께 새로운 캠퍼스 게이트 활성화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용도 Program : 커뮤니티 체육센터 Sports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12,1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5,427㎡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3층 Agenda 최근 성균관대학교 식물원 부지에 새롭게 조성될 예정인 R&D 사이언스 파크가 […]

Read more "416. SKKU Community Sports Center / Joohee Kim"

415. Over the Daily Scene / Rean-hee Jeong

over the daily scene 일상이상을지로 지하상가 보행로 입체화 프로젝트우리에게 익숙한 서울의 일상적 지하 공간인 을지로 지하 상가일대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하여 서울만이 가질 수 있는 지하 공공 공간의 새로운 유형을 제안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중구 을지로3가용도 Program : 지하공공보도시설 Transportation대지면적 Site Area : 14,180㎡건축면적 Building Area : 20,675㎡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2층 […]

Read more "415. Over the Daily Scene / Rean-hee Jeong"

414. HANGANG UNDERGROUND CULTURE / Daehyeon Kim

LEISURE SPORTS PARK현재 한강과 서울 땅은 강변북로로 끊겨있다.한강을 에워싼 도로는수변을 고립시켜, 다른방식으로 한강에 접근 하는 시도기 필요했다.이 프로젝트는 새로운접근을 모색하는 시도이자 기준을 만든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용도 Program : 공원, 스포츠 및 업무 시설대지면적 Site Area : 11,929㎡건축면적 Building Area : 3,545㎡층수 Floors : 지하 2층 Agenda  경제성장은 시민의 라이프 스타일을 […]

Read more "414. HANGANG UNDERGROUND CULTURE / Daehyeon Kim"

413. Cities, Grow In Difference / Zli Yang

Daerim-dong Urban Experience Center이질(異質) & 共生(공생) Urban symbiosis in a multicultural society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2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ty대지면적 Site Area : 9,283㎡건축면적 Building Area : 3,244㎡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4층 Agenda Time is fair to everyone, but space is not. Each of us are volunteer prisoners […]

Read more "413. Cities, Grow In Difference / Zli Yang"

412. 일상위로 / Hongik Kim

현대인의 우울증, 스트레스 치료를 위한 주거타입 제시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대지면적 Site Area : 6,593㎡건축면적 Building Area : 3,208㎡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8층 Agenda 지난 10년간 OECD 자살률 1위, 한국. 자살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울증, 스트레스 등의 정신과적 문제가 상당수 차지합니다. 그 중 대부분은 후천적요인으로, 초기 […]

Read more "412. 일상위로 / Hongik Kim"

411. Cultural Commercial Center / Zekuan Hou

명동쇼핑센터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명동 용도 Program : 복합상업시설 Retail대지면적 Site Area : 3,050㎡건축면적 Building Area : 1,852㎡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7층 Agenda 정보화 시대로 접어든 오늘날에는 많은 전통 산업이 영향을 받았다. 전통적인 쇼핑 방식도 예외가 아니다. 온라인 쇼핑 이용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많은 이들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쇼핑이 더 […]

Read more "411. Cultural Commercial Center / Zekuan Hou"

410. Urban Oasis / Youngmin Kim

도심 속 제3의 공간, 치유공간도시인들에게 쉼터이자 안식처가 되는 제3의 공간을 제안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2동  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10,821㎡건축면적 Building Area : 4,295㎡층수 Floors : 지하2층, 지상2층 대상지 Site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휴식환경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한 곳에서 경험할 수 있는 […]

Read more "410. Urban Oasis / Youngmin Kim"

409. Remember Remembrance / Jaehwan Yoo

무악동 체험형 추모공간 제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악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6,906㎡건축면적 Building Area : 3,450㎡층수 Floors : 지상 5층 Agenda 새로운 추모 문화의 개념을 제시한다. 경험과 체험을 통해 감정을 느끼고 사색을 하게 되는 추모. 그것은 일상 속으로 돌아와도 체험의 회상을 통해 오래도록 기억 될 것이다. […]

Read more "409. Remember Remembrance / Jaehwan Yoo"

408. let there be LIGHT / Yonugbin Kim

양화진 기독교 역사 박물관 및 시민공원양화진 : 한국 기독교 다시 처음으로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마포구 합정동용도 Program : 박물관 Museum, 공원 Park대지면적 Site Area : 7,9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2,200㎡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1층 Agenda 1885년 언더우드 선교사가 대한민국에 처음 교회를 세운 이후로 13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기독교(개신교)가 한국에 처음 […]

Read more "408. let there be LIGHT / Yonugbin Kim"

407. 노인주거형태 제안 / Inyoung Ho

도시농장을 이용한 활력있는 노인주거형태 제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경기도 성남시 신흥동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대지면적 Site Area : 6,253㎡건축면적 Building Area : 3,608㎡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16층 Agenda 노인들의 하루 평균 여가생활 시간은 7시간 16분이다. 하지만 여가시간의 절반 이상인 4시간 4분을 TV시청 등의 미디어 시청에 사용하며, 미디어 시청 외에는 교제활동 51분, […]

Read more "407. 노인주거형태 제안 / Inyoung Ho"

406. 잠재적 건축유산의 활용 / Yekyeong Seo

인천 부평구 미쓰비시 사택지 리모델링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6,735㎡건축면적 Building Area : 8,735㎡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5층 Agenda 최근, 근대 건축물을 비롯한 산업유산, 문화유산 등 ‘기억의 경관’을 보존, 활용하고자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근대’라는 시대의 역사적 가치가 재인식 되고있다. […]

Read more "406. 잠재적 건축유산의 활용 / Yekyeong Seo"

405. 책, 읽는 놀이감이 되어가다 / Mijeong An

폐공장과 테마형 도서관의 만남을 통한 문화적 가치 재창조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세종시 조치원읍 남리용도 Program : 도서관 Library대지면적 Site Area : 6,254㎡건축면적 Building Area : 2,593㎡층수 Floors : 지하 0층, 지상 2층 Agenda 언제 어디서나 전자기기를 통해 책을 볼 수 있는 시대다. 이런 시대에 도서관의 존재 가치가 있을까. 현대의 도서관은 방문자 수는 증가하지만, […]

Read more "405. 책, 읽는 놀이감이 되어가다 / Mijeong An"

404. Show-ping Center / Wonjae Kim

유통흐름에 따른 상업공간의 건축적 변화 제안유통공간의 물리적 필요성이 사회, 문화, 경제적인 변화로 줄어드는 지금 건축은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고 새롭게 요구될 공간은 무엇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용도 Program : 상업시설 Retail대지면적 Site Area : 6,832㎡건축면적 Building Area : 13,690㎡층수 Floors : 지하 4층, 지상 5층 Agenda 유통공간의 물리적 필요성이 사회, 문화, 경제적인 […]

Read more "404. Show-ping Center / Wonjae Kim"

403. ACTIVE CAMPUS / Hyunnyoung Kim

50+세대를 위한 공유 캠퍼스2045년, 노인비중 세계 최고 한국의 새로운 기회를 찾아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동용도 Program : 교육시설 Education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2,345㎡건축면적 Building Area : 10,345㎡층수 Floors : 지상 5층 Agenda 최근까지 우리의 일생은 크게 교육, 일, 퇴직 3단계로 구분되어 왔다. 하지만 이제는 100세까지 평균수명이 연장된 호모 헌드레드 시대가 […]

Read more "403. ACTIVE CAMPUS / Hyunnyoung Kim"

402. 수색역 예술 문화센터/ Judo Han

재생을 통한 청년 스타트업 공간 창출수색예술문화센터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수색역 일대를 개발하는 계획지역에 위치하여 있다. 현재 이 땅에는 서울음악 창작지원센터가 있지만 사용 빈도는 굉장히 낮은 편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은평구 수색동 380-1 용도 Program : 문화시설 Cultural Facilty대지면적 Site Area : 4,438㎡건축면적 Building Area : 2,515㎡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4층 […]

Read more "402. 수색역 예술 문화센터/ Judo Han"

401. Respondence To Hyperconnection / Soochang Park

Library proposal reflecting the future of books책은 사라질 것인가?책의 미래를 반영한 도서관 제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용도 Program : 도서관 Library대지면적 Site Area : 5,9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3,180㎡층수 Floors : 지하3층, 지상3층 Agenda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초연결성이다. Hyperconnection 기술의 발달은 정보 저장 및 전달의 매체를 다변화 […]

Read more "401. Respondence To Hyperconnection / Soochang Park"

400. Myengdong Culture Center / Bo Wang

시간의 흔적을 유지하고 문화의 빛을 창조하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1가 54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5,648㎡건축면적 Building Area : 26,345㎡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8층 Agenda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상업시설에서 살 수 있는 상품은 온라인에서도 살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

Read more "400. Myengdong Culture Center / Bo Wang"

399. WAVING / Ahhyun Chung

전시관, 일상으로 돌아오다2020년, 한국에는 각종 문화 프로그램, 문화 시설들이 있고 사람들은 이를 즐긴다. 하지만 정작 즐기고 싶은 문화를 제대로 즐기고 있을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용도 Program : 복합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5,400 ㎡건축면적 Building Area : 5,200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1층 Agenda 대한민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

Read more "399. WAVING / Ahhyun Chung"

398. 보존형 공공공간 / Kyunghan Kim

원주민과 이주민의 융화를 통한 도시재생뉴타운과 주거지 보존구역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용도 Program : 노유자 및 공공복지 시설 Community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5,320㎡건축면적 Building Area : 3,850㎡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2층 Agenda 1970년대 이래 지속된 ‘도시집중 억제, 강남개발 촉진책’에 의하여 강남, 북 간의 지역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 이에 서울시는 2002년 […]

Read more "398. 보존형 공공공간 / Kyunghan Kim"

397. 근대건축 리모델링 방안 제안 / Kibeom Choi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재탄생수원 고색동에 근대 산업화를 상징하는 버려진 벽돌공장이 있다. 한때 많은 사람들이 일했던 공간을 어떻게 지금 채울 수 있을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887-12용도 Program : 복합문화시설 Cultural Facilty대지면적 Site Area : 5,000㎡건축면적 Building Area : 2,100㎡층수 Floors : 지상 3층 Agenda 이 버려진 공장은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

Read more "397. 근대건축 리모델링 방안 제안 / Kibeom Choi"

396. Digital Stream / Soobeom Noh

광명 Digital Complex연속된 동선과 연속된 경험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261용도 Program : 전시시설 Exhibition, 판매시설 Retail대지면적 Site Area : 2,318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154m²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3층 개념 Concept 첫째, Digital과 Culture의 융합을 통해 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디지털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 […]

Read more "396. Digital Stream / Soobeom Noh"

395. 지월장 소셜하우징 / Sanghyun An

공공임대주택을 통한 청년•지역활성화 방안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 250용도 Program : 공동주택 Residential, 제 1종 근린생활시설대지면적 Site Area : 3,388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4,854m²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4층 Agenda 주거 마련을 돕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이 공급되고 있지만 수도권 외곽의 비인기지역에 자리하거나, 최소한의 면적만을 제공하는 등, 선호대상이 되지는 못한다. 정책 이름을 […]

Read more "395. 지월장 소셜하우징 / Sanghyun An"

394. 줄사택을 보다 / Yejin Kim

해체된 공간을 통해 공감 만들기 줄사택에 대해 길게 설명하지 않고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 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줄사택을 여러 부분으로 잘라서 보여주면 어떨까? 평면, 단면, 입면 등 기본요소에서 설계를 시작했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영로 19 일대용도 Program : 문화 복합 주민 이용시설 Cultural Facilty대지면적 Site Area : 4,166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Read more "394. 줄사택을 보다 / Yejin Kim"

393. 후암:발견 / Junhee Woo

일상적 소비 공간의 다양화소비가 귀찮은 일이 아니면 좋겠다는 바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용도 Program : 시장 Market대지면적 Site Area : 3,809 ㎡건축면적 Building Area : 2,666 ㎡층수 Floors : 지하1층, 지상5층 Agenda 사람은 각기 다른 취향을 가지고 있고 각기 다른 물건을 구매한다. 사용하는 물건은 점차 다양해지는 한편, 소비를 하기 위해 방문하는 […]

Read more "393. 후암:발견 / Junhee Woo"

392. 서울 웨딩홀 / Jaewan Chang

예식장의 도시기반시설로서의 가능성과 공공이 주도하는 리모델링 사업모델 제안우리동네 젊은 예식장, 마을의 커다란 사랑방.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1가 일반 115-0 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3,901.2㎡건축면적 Building Area : 1,662.8㎡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8층 Agenda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정부의 신혼부부 지원정책을 기반으로, 선도적으로 여러 프로그램을 […]

Read more "392. 서울 웨딩홀 / Jaewan Chang"

391. 요 양 (병) 원 / Hanwoong Choi

공동주택 용도변경 리모델링을 통한 주거시설과 요양시설 혼재 가능성 제시도시속 죽음과 관련된 시설은 얼마나 존재하는가? 프로젝트의 시작은 죽음의 대상을 우리로 돌리는 것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용도 Program : 의료시설 Medic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4,148.14㎡건축면적 Building Area : 6,223.74㎡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6층 Agenda 왜 죽음을 이야기하는게 어색하기만 할까? 죽음을 […]

Read more "391. 요 양 (병) 원 / Hanwoong Choi"

390. Parking Platform / Bumchan Park

자율주행기술이 만들어 낼 공간 플랫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지금의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냈다. 자율주행기술이 불러 올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은 무엇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용도 Program : 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5,537 ㎡건축면적 Building Area : 1,842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4층 Agenda 자율 주행 자동차의 도입은 더는 먼 […]

Read more "390. Parking Platform / Bumchan Park"

389. 누구나 공연장 / Hao Yuan

대학로의 중재 문화시설대학로는 젊은이들의 장소로서 상업시설과 문화시설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상업화가 계속 발전하면서 문화산업과 충돌이 발생하였고 점점 더 많은 상업시설이 문화시설을 차지하였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3,074㎡건축면적 Building Area : 2,151㎡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6층 Agenda 대학로는 젊은이들의 장소로서 상업시설과 […]

Read more "389. 누구나 공연장 / Hao Yuan"

388. Cultural Shopping Center / Hengyu Zhang

Cultural Shopping Center; 명동 쇼핑센터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중구 명동용도 Program : 상업시설 Retail대지면적 Site Area : 2,879㎡건축면적 Building Area : 1,634㎡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8층 Agenda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쇼핑몰에 더 들어가길 원할까? 전통적인 형태보다는 더 많은 교류 공간이 필요하다. 동시에 쇼핑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더욱 […]

Read more "388. Cultural Shopping Center / Hengyu Zhang"

387. 도심 인프라 공유 제안 / Jihong Bae

공간의 민주화분리해소를 위한 공공 공유 시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용도 Program : 상업시설 Retail , 업무 시설 Office대지면적 Site Area : 1,503㎡건축면적 Building Area : : 8,891㎡층수 Floors : 지하 5층, 지상 15층 Agenda 도시는 지역별, 구역별, 위치별로 차이를 가진다. 그 차이로 인해 어느 곳은 발전하고 어느 곳은 쇠락의 과정을 겪는다. […]

Read more "387. 도심 인프라 공유 제안 / Jihong Bae"

386. REunion for Cultural Hub / Taekyung Lyu

디지털 산업시대, 명동의 문화적 경쟁력 및 방향성21세기는 정보통신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미디어 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디지털 산업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1가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845㎡건축면적 Building Area : 1,107㎡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4층 Agenda 21세기는 정보통신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미디어 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

Read more "386. REunion for Cultural Hub / Taekyung Lyu"

343. 융합적 주거의 프로토타입 제안/ Kangsan Kim

Tangram 을 이용한 Positive-sum 공유주거 모델 개요 Introduction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용도 Program : 공동주택 Residential 대지면적 Site Area : 8,670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3,535 m²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5층 Agenda 2019년, 의류업계에서는 브랜드 간 협업을 통해 다수의 성공사례들을 일궈내는 중이다. 그 요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있다. 대중적 브랜드는 한정된 […]

Read more "343. 융합적 주거의 프로토타입 제안/ Kangsan Kim"

341. 넷플릭스가 영화관을 만든다면 / Sungkyung Lee

스트리밍 시대, 영화관의 타이폴로지 개요 Introduction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동 32-1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2,604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688 m²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7층 Agenda 넷플릭스가 영화관을 만든다면? 이런 상상에서 설계가 시작됐다. 2019년 지금, ‘언제 어디서나’는 너무 당연한 말이다. 정해진 시간과 정해진 장소에서만 컨텐츠를 시청해야했던 […]

Read more "341. 넷플릭스가 영화관을 만든다면 / Sungkyung Lee"

340. 공유와 공생을 통한 나홀로아파트의 재생/ Taehyun Nam

가리봉동 대흥아파트 레노베이션 개요 Introduction위치 Location : 서울시 구로구 가리봉동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대지면적 Site Area : 4,407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783 m²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5층 Agenda방치되어가는 저층의 나홀로 아파트대한민국은 1950년대 전쟁 이후, 빠른 속도의 경제개발과 서울의 과밀집화, 인구증가를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인구증가에 의한 주거 수요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가 도입되었다. […]

Read more "340. 공유와 공생을 통한 나홀로아파트의 재생/ Taehyun Nam"

339. Recreate Park / Sunghwa Hong

육체적 활동 기반의 커뮤니티 센터 Physical-Type Based Community Park 개요 Introduction위치 Location :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용도 Program : 문화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8,280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5,530 m²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1층 디자인 Design 1] 시민을 위한 시설이 많아지면서 불특정 다수의 커뮤니티 형성을 의도하고 계획되는 공간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

Read more "339. Recreate Park / Sunghwa Hong"

338. PRINTING GROUND/ Chae-eun Jeong

충무로 재정비 및 인쇄업 거점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중구 충무로 3가 24일대용도 Program : 판매시설Retail 대지면적 Site Area : 2,724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919 m²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10층 2018년 연말부터 세운상가 주변 지역의 재개발을 두고 철거를 추진하는 시행사와 반대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을지로 3개 구역 (3, […]

Read more "338. PRINTING GROUND/ Chae-eun Jeong"

337. INTER, ACTIVE/ Won-woo Choi

저출산 시대의 학교재동초등학교 리모델링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4길 7용도 Program : 교육시설 Educational Facility,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8,487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2,548 m²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3층 Agenda“예정된 미래인 저출산 세대는 도시를 어떻게 바꿀 것이고, 건축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출산율이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출산율의 […]

Read more "337. INTER, ACTIVE/ Won-woo Choi"

336. Coexistence in Daehangno / Gihoon Seo

대학로 공간에서의 상생대학로에 적합한 최적의 건축 공간 창출과 확산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대명길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636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380 m² 층수 Floors : 지하 5층, 지상 3층 문화예술거리의 의의를 지니는 대학로 공간에서 주위 맥락을 분석하여 현 시점에서 다양한 현대인을 위한 건축 구현의 필요성 […]

Read more "336. Coexistence in Daehangno / Gihoon Seo"

335. In Between City / Sangmoon Lee

In Between City틈의 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문래 산업예술문화단지 배경 Introduction 도시의 과거 유산과 예술문화의 진정한 융합을 통해 도시가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는가. 어린 시절 상상했던 Neo-Seoul과 같이 자동차들이 날아다니고, 첨단 기술로 지어진 초고층 건물들이 즐비한 모습인가. 물론 그러한 모습을 보이는 신도시도 존재한다. 하지만 도시는 […]

Read more "335. In Between City / Sangmoon Lee"

334. Purification / Hyunsoo Na

정화 : Purification도시, 자연을 끌어들이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송파구 신천동용도 Program : 판매시설Retail , 위락시설대지면적 Site Area : 21,045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8,260 m² 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2층 Agenda 잠실과 삼성, 고밀도 도심 속에서 인간과 자연은 오염된다. 무조건적인 비워냄이 아닌 도 심속 자연의 관입을 통 해 도시가 정화되고 […]

Read more "334. Purification / Hyunsoo Na"

331. Closeness & Openness / Eunho Chun

공간 : 닫힘과 열림민주화의 현장 남영동 대공분실의 문화적 재생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갈월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6,391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936 m² 층수 Floors : 지상 7층 개념 Concept민주인권기념관이 될 대공분실은 과거 독재 시절의 고문과 폭력의 공간이다. 건물의 창은 안밖의 소통이 아닌 차단을 위해 계획되었고, […]

Read more "331. Closeness & Openness / Eunho Chun"

330. FLAT, UN-FLAT / Ji-hye Seo

FLAT, UN-FLAT입체적인 주거복합공간 리모델링 프로젝트 한때는 ‘연예인아파트’라고 불리며 뜨거웠던 회현시민아파트. 그러나 지금은 마치 사람이 살지 않는 듯, 음침함 그 자체이다. 회현시민아파트가 홀로 고립되어 멈추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 상업시설 Commercial대지면적 Site Area : 4,663.5㎡건축면적 Building Area : 1,787.5㎡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10층 […]

Read more "330. FLAT, UN-FLAT / Ji-hye Seo"

329. Relation / Seung-geon Baek

RELATION 현대적 교정이념에 따른 마을형 교화시설설계 무조건적인 ‘위로’와 ‘용서’가 아니라 우리들은 이제 어떠한 공간을 통해서 언젠가 사회로 다시 나오게 될 수용자들에게 ‘구금’과 ‘교화’라는 상반된 책임을 제시해 줄 수 있을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용도 Program : 교정시설 Correction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194,711㎡건축면적 Building Area : 71,993㎡층수 Floors : 지하 2층, […]

Read more "329. Relation / Seung-geon Baek"

328. For Better Settlement Environment / Hong-seong Choi

쪽방촌 주민 정주환경 조성 For Better Settlement Environment 이태원 주민을 위한 거주환경 및 스타트업 공간 창출 건축적으로 “어떻게 쪽방촌 주민을 도울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쪽방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과연 어떨까? 경제적인 어려움, 어두운 환경, 나쁜 치안, 나쁜 위생상태, 낡아 언제 무너질 지 모르는 건물들, 취약한 방화문제, 경제활동 단절, 바깥 세상과의 단절 […]

Read more "328. For Better Settlement Environment / Hong-seong Choi"

327. GOMOKU / Seon-gyu Han

GOMOKU : 이분법의 해체요소추출을 통한 역공간의 실험설계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대지면적 Site Area : 6,225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4,560 m²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4층 개념 Concept 현대의 수많은 곳에 자리잡은 현상과 공간들에서 경계에 대한 논의는 필수불가결하다. 경계와 반대되는 단어인 모호함의 고찰을 통하여 […]

Read more "327. GOMOKU / Seon-gyu Han"

326. FILL UP VOID / Jinsu Kim

FILL UP VOID이태원 활성화 프로젝트 – 도시재생 프로토타입 제시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131-34 일대용도 Program : 청년창업 공유주거 Residential대지면적 Site Area : 5,500 m²건축면적 Building Area : 1,806 m² 층수 Floors : 지상 4층 대상지 Site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온 도시를 어떻게 재생시킬 것인가?’ 비움이라는 방법으로 ‘터’를 살리고 프로그램이라는 무늬를 […]

Read more "326. FILL UP VOID / Jinsu Kim"

325. Brake! Awake! / Subin Lee

Brake! Awake! 파편에 관한 실험 기억의 분류 Classification of Memory ; 그 파편들이 갖는 우연과 유일의 공간은 새로운 기억의 분류법으로써 기술복제시대의 무상함을 영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현대의 기억의 공간을 표상하고 있다. The coincidence and unique space of the fragments represent a modern memory space that can raise the innocence of the age of technology replication […]

Read more "325. Brake! Awake! / Subin Lee"

276. Piece on the Way / Pyoung-hwa Shin

고속도로의 개발로 인해 기존도로의 폐도화 현상과 함께 도로 주변 시설들의 유휴지화 문제가 계속해서 심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을 위해 노력을 시작하였지만, 많은 유휴지들에 다시금 활력을 불어넣어줄 방안에 대한 모색은 전무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토대로 유휴지의 특성을 살린 건축적 해결방안의 한가지로 복합휴양 숙박시설을 제시한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B+프리미엄 여가생활과 1코노미 시대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

Read more "276. Piece on the Way / Pyoung-hwa Shin"

272. Itaewon Cultural Space / Zoran Caruso

credit Itaewon Cultural Space조란 Zoran Caruso5학년 Thesis Project교환학생 프로그램 International Exchange Student Program2018

Read more "272. Itaewon Cultural Space / Zoran Caruso"

271. Intergenerational Housing / Jil Philippot

credit Intergenerational Housing 질 Jil Philippot5학년 Thesis Project 교환학생 프로그램 International Exchange Student Program2018

Read more "271. Intergenerational Housing / Jil Philippot"

256. Go through See-through / Sangjun Eom

우리의 도시는 오래전부터 생겨왔거나 도시계획에 의해 생겨난 필지에 따라 건물 또한 맞춰져왔다. 그러나 필지의 규범과 경제적, 사회적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생겨난 건물과 그들이 모인 도시는 종종 무한한 가능성을 놓치게 되지 않는가에 의문을 품었다. 건축과 도시는 어떠한 제약에 구속되어 무한한 잠재력을 잃어야만 할까? 건축과 도시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의문을 졸업설계 주제로서 이태원거리 중 가장 어두운 […]

Read more "256. Go through See-through / Sangjun Eom"

249. CASAGAMI / Yong-wook Lee

이태원은 기원부터 드나듦, 뒤섞임의 공간이었다. 조선 초기부터 공무수행 관리와 여행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숙소로 설치된 ‘한양 4원’ 중 하나였다. 또한 임진왜란 때 왜군들이 이곳에 귀화하여 살았다는 점에서 어원으로 이타인(異他人)에서 출발하여, 임진왜란 시 왜군에게 치욕을 당한 이 지역의 여승들과 부녀자 및 아이들을 위한 보육원을 지어 정착케한 바, 이들 혼혈인의 거주지라는 의미에서 잉태원이라 부르던 것이 이태원으로 되기도 […]

Read more "249. CASAGAMI / Yong-wook Lee"

237. URBAN SYMMETRIA / Changjae Lee

Solving urban sprawl Like in all other countries, urban sprawl phenomenon is a serious problem between lots of cities in Korea. It changed images of villiges, and teractions between people and spaces also changed in brief period. These processes are usually implemented by collapsing buildings and consturcting new spaces. However, not only dealing with these […]

Read more "237. URBAN SYMMETRIA / Changjae Lee"

222. Next Apartment / Isae Song

앞으로의 노인들만 남고 떠나가는 빈 공간들은 주거의 기능만 있고 개인과 개인이 단절된 공간들의 중첩에서 경제적으로 자립 가능하고 소통과 교류를 하는 지역공동체의 중심이 되도록 한다. 대표적인 베드타운인 상계동이 인구축소로 인한 역 스프롤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계동 대부분을 구성하는 아파트 단지를 도시의 중심이자 자생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킨다. 기존의 단지를 도시에 맞도록 바꾸고 주거 동마다 생기는 빈 집들은 과거 […]

Read more "222. Next Apartment / Isae Song"

183. Urban Jangdokdae Project / Gachi Lee

우리의 삶에 장독대가 사라졌다. 오랜기간동안 ‘장’은 우리의 식문화를 책임졌다. 그렇기에 우리는 대대손손 손없는 날을 골라가며 ‘장’에 매년의 행운을 담았다. 이런 민족에게 장독대가 사라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이것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의미하진 않을것이다. 대부분의 청춘을 좁은 공간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은 날마다 먹는 ‘장’ 마저 공장이 만들어주는 공산품에 의지한다. 이렇게 우리는 여유로운 공간과 시간을 포기했다. 청춘들이 장독대를 되찾는다는 […]

Read more "183. Urban Jangdokdae Project / Gachi Lee"

163. UNDERGROUND GALLERY PARK / Millie Munkhbat Undram

How to make meaning to the enjoyable space for people? The five human senses are the main theme of the space. The user will not have an entire look over the park, but they will do a series of different experiences. The variation of high and inclination, dimensional games is some of the ludic peculiarity […]

Read more "163. UNDERGROUND GALLERY PARK / Millie Munkhbat Undram"

141. URBAN REGERNERATION OF FLOUR FACTORY / Minsung Kwon

credit 영등포 대선제분 도시재생 URBAN REGERNERATION OF FLOUR FACTORY 권민성 Minsung Kwon 5학년 Thesis Project2018

Read more "141. URBAN REGERNERATION OF FLOUR FACTORY / Minsung Kwon"

139. Weaving Lab / Hyunjoon Oh

성수동 공장골목 수제화 거리는 젊은 사람들에게 현재 흔히 말하는 ‘뜨는’ 지역이다. 하지만 이 수제화 거리가 뜨고 있는 만큼 속에서는 문제가 많다. 실상을 들여다보면, 젊은이들은 오직 카페에만 관심이 있고 수제화 거리는 방문하지 않는다. 또한 앞으로 다가올 가까운 미래에는 수없이 많은 기술들의 범람과 천연자원의 고갈로 수제화를 만드는 것은 점점 쇠퇴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제화 거리는 설 […]

Read more "139. Weaving Lab / Hyunjoon Oh"

131. FORESTSCRAPER / Jeheon Rhyoo

저성장의 시대에도 재개발은 필요하다. 1970년대 빠른 속도로 성장한 시가지들은 50여년이 지난 지금 동시다발적으로 노후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들을 도시재생이나 개별건축만으로 개선하기는 어려워보인다. 하지만 민간에 의존하는 기존의 재개발 패러다임의 기저에는 공공의 부재·사업성 감소·지역의 해체라는 모순이 깔려 있으며 이는 곧 한계에 다다를 전망이다. 언제까지고 소수의 다주택자들에게만 부의 축적을 안겨주는 고비용-저부가가치 사업이 지속될리는 없기 때문이다. 도시환경의 개선이라는 재개발 사업의 […]

Read more "131. FORESTSCRAPER / Jeheon Rhyoo"

128. Find Evolution Possibilites of Chung Shin Tang / Inji Jeong

충신탕은 1972년, 종로구 충신동에 세워진 목욕탕이다. 올해로 세워진 지 46년째를 맞은 이 건축물은 지하 보일러실, 1층 목욕탕, 2층 여관으로 당시 젊은 건축가였던 변용 선생님에 의해 설계되었다. 당시 일반 가정집에는 목욕설비가 존재하지 않았고 국가의 물 공급 또한 제한적이었깅에 충신탕은 서민주거지였던 충신동에 없어서는 안될 시설로 호황을 맞이하게 된다. 그러나 1970년 후반부터 봉제산업이 확산되고 동대문과 접근이 용이한 충신동엔 […]

Read more "128. Find Evolution Possibilites of Chung Shin Tang / Inji Jeong"

103. Time Mediator / Jiwon Kim

Introduction 과거의 기차역은 교통, 만남, 정보, 시간의 장소성을 지녔지만 오늘날 ‘역’의 의미는 기능만 남긴 철도역으로 축소되어 가고 있다. 시대가 다시 한 번 변하게 되면서 제 가치를 잃어가고 축소되어 가는 ‘역’을 흉물스럽게 둘 것인가, 혹은 도시의 보배가 되어 새로운 가치를 지닐 수 있게끔 할 것인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시공간에서 이동성의 중심공간인 역은 현대도시의 다층적 요구에 의해 […]

Read more "103. Time Mediator / Jiwon Kim"

102. RETROSPECTION / Hyojin Seok

한강은 서울의 중심공간이다.그러나 도시팽창 및 성장과정에서 한강으로의 접근이 차단되어 그 중심공간의 성격을 잃게되었다. 그런 결과를 초래한 많은 원인 중 수질의 오염도가 가장 치명적이란 사실을 알게되어 수질을 정수할 수 있는 시설을 제안한다. 사람들이 직접 물이 정수되는 과정에 참여하여 현재 한강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게 한다. 정수라는 새로운 형태의 놀이공간을 제안하여 잊혀졌던 한강의 중심역할을 되찾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

Read more "102. RETROSPECTION / Hyojin Seok"

024. Agri+Culture / Mingyu Kim

어떻게 음식을 소비할 것인가. 농업 문화라는 것은 새로운 형태의 문화산업으로 나타날 것을 시사한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심 속에서 미래의 음식 문제를 건축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이 질문의 답으로 건축을 통해 음식문제라는 단순한 1차원적 해결을 넘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고, 농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만들어 보려 한다. “미래엔 농업이라는 것이 사람들의 위장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

Read more "024. Agri+Culture / Mingyu Kim"

016. Re-package / Seokhyun Kim

도시 사회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했던 시장은 과거의 모습이 아닌 미래의 흐름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새로운 시장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Re-Package 는 ‘다시 포장하다-다시 만들어주다’ 라는 뜻으로 과거에 머물러 있는 시장을 미래의 모습으로 다시 포장해서 새로운 모습을 제안하겠다는 의미이다.

Read more "016. Re-package / Seokhyun Kim"

018. Sillimdong.San / Kyo-young Hwang

“’사막’같은 신림동 고시촌을 나즈막한 ‘동산’으로 바꿔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학부 마지막 프로젝트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아직도 제목 하나만은 잘 지었다고 자부하는 바이다.” “사법고시가 폐지되면서 신림동 고시촌 공동화 현상이 이미 진행중이다. 따라서 신림동의 새로운 정체성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느껴졌다. 한편 스타트업과 고시준비는 그 기간과 성격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두 과정 모두 목표를 달성하면 편의를 위해 […]

Read more "018. Sillimdong.San / Kyo-young Hwang"

008. Jangchung Skywalk Museum / Dongyoon Han

남산을 관통하는 2호터널이 위치한 장충동 일대는 대한제국과 식민지사, 그리고 해방 이후 반공과 전통을 키워드로 하는 현대사가 관통하는 장소이다. 식민 지배와 분단 그리고 전쟁이 가져온 결과로 오늘날에도 ‘반공 이데올로기’는 남아있으며, ‘친일’과 함께 우리 사회 깊숙한 곳에 아픈 상처로 극복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전후 냉전체제 하에서 등장한 군사정권은 ‘반공’과 ‘전통’을 지배 이데올로기의 양대 축으로 삼았으며, 그것이 가장 […]

Read more "008. Jangchung Skywalk Museum / Dongyoon Han"

001. Co-regeneration Campus Master Plan / Eunghyun Bae

배경 introduction 시대가 발전 할수록 인간의 창조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아이디어, 정보, 지식등 무형적 요소들을 통한 혁신의 창출은 오늘날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교는 학문을 배우고 증진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지식과 정보교류, 아이디어의 집합소로 인간의 창조성을 촉진하는 장소이자, 경제성장의 주요한 역할로 변화하고 있다. 수도권 내 대학 캠퍼스들은 협소한 학교 내의 대지와 늘어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

Read more "001. Co-regeneration Campus Master Plan / Eunghyun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