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 기술혁신 시대 복지의 공간적 접근 / Seokhyun Lee


다변화되는 요구에 대응가능한 공간 시스템 제안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의 기술혁신 시대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요구들이 생겨난다.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용산구 문래동
용도 Program : 복합 커뮤니티 시설 Mix-used
대지면적 Site Area : 24.836㎡
건축면적 Building Area : 9,971㎡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11층





Agenda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의 기술혁신 시대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 요구들이 생겨난다. 혁신적인 기술들이 나오고 빠르게 발전하는 시대에 문화는 이 발전을 받아들이면서 변하고, 사회는 기술과 문화의 변화를 따라서 변하게 된다. 특히, 문화는 세대 또는 환경에 따라 기술의 발전을 수용하는 정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기술이 진보할수록 개별적이고 고립된 집단이 많아진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에 중대한 이슈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공유 경제, 인공지능 등 이전에는 없던 기술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삶과 경제 활동은 단순한 문제로 치부되지 않고 사회적인 합의가 요구된다.  즉, 문화는 사회에서 구성원들간 공유되는 가치이고 사회는 다양한 문화를 담아내는 그릇과도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문화는 변화에 능동적이고, 사회는 수동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기술, 사회 그리고 문화의 긴밀한 관계 속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건축은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에 대한 질문이 생겼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복지의 개념으로 공간에 접근하게 되었다.






개념 Concept

우선, 이 복지의 개념을 정의하기 이전에 건축을 통한 공간의 개념을 정의하자면, 사회와 문화가 투영된 장소이다. 즉, 당시의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장소의 성격이 정해지며 형태 또한 이에 맞게 디자인되어진다.

복지란, 사회 구성원들에게 안락한 소속감을 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욕구와 부족함을 충족시켜주며 행복한 개인들을 통한 사회를 안정시키는 가치라고 생각한다. 즉, 앞으로의 공간에는 장소의 성격에 따라 기능과 구조 그리고 미를 반영하는 것과 더불어, 복지의 가치를 더해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공간만으로는 다양한 요구에 모두 대응할 수 없다. 이러한 물리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복지의 가치가 더해진 여러 공간들을 하나로 묶는 큰 틀이 필요하다. 또한, 부지내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공간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게 하려면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활발한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 조성에 대한 고찰이 병행되어야 한다.





대상지 Site






디자인 Design

이로 인해 다양한 성격의 공간이 지역 주민들의 필요에 의해 틀에 배치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앞으로 있을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공간들에 대해 기술적 분석을 토대로 지속 가능한 복지의 가치를 구현하는 건축물이 된다. 물리적으로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대지에 우선적으로 다양한 동선축을 구상하고 그 위에 시스템이 반영된 건물들을 배치한다. 이때 공간의 물리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공간을 모듈로 만들어서 요구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변 환경을 녹지로 만들고 건물 내부와도 연결되게 만들어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게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노란 테두리의 기존 공장 건물은 새롭게 생산의 거점으로 재생하고 나머지는 커뮤니티 활동에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사회 및 문화적 소비의 거점으로 계획하였다.






프로그램 Program






모듈 Module






도면 Drawings

동선축은 크게 기존 공장을 재생하여 생산의 가치를 살리는 초록색 축과 주변과 상생할 수 있는 소비의 가치를 지닌 주황색 축의 교차 속에 동선의 흐름을 중점으로 건물을 배치하였다. 또한 전면의 모듈 시스템과 반대로 건물의 후면엔 부지 내 건물들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외부 동선을 계획하였다.






이미지 Images






모형 Maquette






credit

이석현 Seokhyun Lee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