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5. N2AF2U / Chaeyoung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211-7~18, 20~21

용도 | 상업시설

대지 면적 | 2,450 m2 (741.23평)

건축 면적 | 1,490 m2 (451.51평)

층수 | 1~6층 Location | 211-7~18, 20~21, Sungin-dong, Jongno-gu, Seoul
Program | Commercial
Site Area | 2,450 m2 (741.23py)
Building Area | 1,490m2 (451.51py)
Floors | 1~6F






Agenda

이 프로젝트는 어떤 방식으로 건축이 다양화 될 수 있을 지와 어떻게 하면 건축으로서 많은 사람들과 교감 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두 가지 고민을 내포한다.

This project involves two contemplations about how architecture can be diversified and how many people can communicate through architecture.






Concept

아래는 Neri Oxman이 Bauhaus 커리큘럼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한 다이어그램이며, 예술, 과학, 엔지니어링 및 디자인 영역의 입력값이 다른 도메인의 출력값이 되어 서로 시너지를 일으킴을 표현한 것이다. 이 다이어그램에서 착안하여 본 프로젝트는 시공 방식 제안, 형태 연구, 표현, 재료 실험 순으로 전개 되었다.

Below is a diagram by Neri Oxman inspired by the Bauhaus curriculum, expressing that input values in art, science, engineering, and design domains become output values in other domains to create synergy. Based on this diagram, this project was developed in the order of Construction Method Proposal, Morphological Study, Application, and Material Experiment.






Construction Method

제안하는 시공 방법은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섬유를 짜는 방식으로, 3D 프린팅과 유사하다. 기계화가 된다면, 섬유 조직을 짜는 기계로 구현된다. 이런 종류의 기계는 부피가 적고 사용이 간편하여 미래의 건축 건설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일 것이다. 이런 시공 방식에서 중요한 요소는 압착 속도, 노즐 두께 및 노즐 높이 등 이다.

The proposing construction method is to use a nozzle. This method is similar to 3D printing in a way weaving fibers. When mechanized, it is realized as a type of machine in which the fibrous tissue is woven through the back. This type of machine has a small volume and is easy to use, so it is a form that can respond to future architecture construction. The decisive factors in shaping are the speed of squeezing, the thickness of the nozzle, and the height of the nozzle.





Morphological Study

1) Morphological Study Using Blender

제안한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재료의 물성을 고려한 노즐로 제작할 수 있는 형태를 ‘블렌더’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해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When the proposed construction method is adopted, these are the forms expected to be possible that can be made out of the nozzle conside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2) This is fiction!

최근엔 고강도 콘크리트, 신소재 메탈, 고강도 세라믹 등의 다양한 건축 재료가 개발되고 있는데, 구조체 생성과 건축물의 형태가 형성되는 시간의 차가 좁혀지고 시공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덜 가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점점 더 작은 자동화된 기계들이 시공과정을 대체하게 되다가, 어느 극단에 도달하면 소행성이 생성되는 과정이 곧 건축물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비슷해 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결국 순수한 우주 환경에서의 형태들이 미래의 건축 생김새를 표현하고 있는 메타포일지도 모른다.

Recently, various building materials such as high-strength concrete, new material metal, and high-strength ceramic are being developed.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gap between the creation of structures and the formation of the shape of a building is narrowed, and research is conducted in a way that requires less human effor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Smaller and smaller automated machines will replace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when it reaches a certain extreme,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creating asteroids will soon become similar to the process of building buildings. After all, the forms in the pure cosmic environment may be metaphors expressing the future architectural features….!

디자인은 각 공간의 프로그램에 적합할 공간 형태를 매치시켜 진행하였다.

The design was carried out by matching the program and the appropriate form to perform its function.





Maquette






Circulation

동선 계획은 수직으로 이어지고 평면적으로는 복잡하게 꼬았다. 기존 건물의 프로그램들이 주로 작은 상업 시설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장소에 더 오래 머물도록 함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The circulation is designed to be connected vertically, while the flat circulation is complicated. This is to make people stay more longer in the site, as the programs of existing buildings are usually small commercial space.






Images

1. The southern façade allows light and movement to pass through.
2. Cozy outdoor space is designed between buildings.
3. A public spac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ite connects the buildings and separates the yard.
4. An object in which the events can take place attracts people to come into the site.
5. The newly added mass connects the building from the upper floors, while people can relax looking at the nice view.
6. The bridges connect buildings and enhance utilization of existing building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Drawings





Material Experiment

만약 건축 재료를 지구가 아닌 우주로부터 무한히 공급 받는다면, 앞서 적은 픽션이 현실화 될 지도 모른다. 예들 들어, 우주 먼지를 건축 자재로 변환하게 된다면 말이다.

If building materials are infinitely supplied from space rather than Earth, the previously written fiction may become a reality. For example, transforming cosmic dust into building materials.





Exhibition

이번 졸업 전시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인 OPACITY로 전시를 준비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불투명성을 개인성이 탁해지는 것으로 해석하여 Scope 1과 2의 투명성에 차이를 두었다.

1. Concept Model 학기 프로젝트의 컨셉모델
2. Narrative Book 학기 프로젝트의 내러티브 북
3. Architectural Design Model 학기 프로젝트의 건축 설계 모델
4. Personal Project 개별적 감각에 집중한 공간 디자인 프로젝트
5. Contact 연락처
6. Diary 일기 The theme of this graduation exhibition is OPACITY, and I interpreted opacity as being blurred personality. Therefore, I gave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of Scope 1 and 2.


credit
이채영 Chaeyoung Lee
5학년 Thesis Project
2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