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LIVERARY / Seungho Choi

새로운 정보열람 스타일을 제안하는 도서관
매년 도서관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성인 연간 독서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어쩌다 성인 10명 중 4명이 1년에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않게 되었을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동
용도 Program : 공공도서관 Library
대지면적 Site Area : 16,899㎡
건축면적 Building Area : 6,533㎡
층수 Floors : 지하 3층, 지상 6층






Agenda

독서는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로 자리하고 있을까. 우리는 동화책을 통해 처음 독서라는 행위를 접하게 된다. 책을 통해 다양한 간접경험을 하며 우리는 그 속에 빠져들게 된다. 하지만 어느 순간 독서는 재미와 경험이 아닌 입시, 자격증, 시험 등을 위한 행위가 되었다.
독서는 인문학적 지식 함양, 다양한 어휘력 상승과 더불어 세상을 간접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행위다. 또한 독서는 지식 기반 경쟁사회에서 개인과 국가에 경쟁력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하지만 OECD국가 중 우리나라의 독서량과 독서율은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여러 이유가 존재하지만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집중했다.






디자인 Design






프로그램 Program

그와 동시에 도서관은 단지 자료를 찾고 공부하는 곳 정도로만 인식되고 있다. 도서관의 기술적 역할은 스마트폰이 대신하고, 장소적 역할은 카페, 독서실 등으로 대체 가능해졌다. 더이상 도서관은 매력적인 공간이 아니다. 도서관의 역할이 점점 무색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서관이란 공간은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만한 가능성을 가진 플랫폼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야 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정보의 습득 외에도 폭넓은 체험과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가고 싶은 장소, 책이 읽히는 환경, 독서 외에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도서관이 지금 우리가 필요로 하는 도서관이다. 이러한 도서관이야말로 우리에게 매력적인 공간으로 다가올 것이다.

사람들이 원하는 공간은 어떠한 모습일까. 부담없이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도서관은 어떠한 모습일까. 이런 고민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공간, 청소년을 위한 놀이터, 일상을 자연스럽게 녹여낼 수 있는 새로운 도서관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면 Drawings





이미지 Images






모형 Maquette






credit

최승호 Seungho Choi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