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FLAT, UN-FLAT / Ji-hye Seo

FLAT, UN-FLAT
입체적인 주거복합공간 리모델링 프로젝트

한때는 ‘연예인아파트’라고 불리며 뜨거웠던 회현시민아파트. 그러나 지금은 마치 사람이 살지 않는 듯, 음침함 그 자체이다. 회현시민아파트가 홀로 고립되어 멈추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용도 Program : 주거시설 Residential, 상업시설 Commercial
대지면적 Site Area : 4,663.5㎡
건축면적 Building Area : 1,787.5㎡
층수 Floors : 지하 1층, 지상 10층

우리나라 건축 사회에서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일까? 우리나라 건축 실황을 살펴보면 준공 후, 20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이 전체의 60%에 달한다. 노후 건축물은 해당 지역을 슬럼화시키고 주변 지역과 지역적, 건축적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후 건축물이 철거 및 재건축을 한다. 하지만 재건축 후, 재정착률은 20%가 채 되지 않는다. 그 외의 집단은 입주를 포기하고 또다른 노후 건축물로 이주한다. 재건축은 건축의 지역적 불균형을 해결하고자 하지만 결국 더 큰 불균형을 초래한다. 또한 앞으로 10년 사이에 노후 건축물의 비율이 훨씬 높아질 전망이나 모두 재건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에대한 대안으로 리모델링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소유 건축물에 대한 인식이 사용가치보다 소유에 중점을 두는 쪽이라 리모델링에 대한 인식이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나는 노후 건축물 리모델링에 대한 새로운 시범사례를 제시하여 리모델링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고자한다.
이에 대한 방향으로 복도식 아파트를 선택하였다.복도식 아파트는 단독주택이 대부분이었던 우리나라 주거사회에서 공동체로서의 새로운 형태를 마련했다는 점과 지금은 아니지만 한때 많은 사람들의 주거형태였다는 점에 가치가 있다. 그중, 회현시민아파트는 고위 관리직, 연예인 등 저명한 사람들이 많이 살았던, 한때 뜨거웠던 복도식 아파트이다.



개념 Concept

나는 질문에 대한 이유를 찾기 위해 ‘FLAT’이라는 단어를 이용하였다. FLAT은 영국식으로 ‘아파트 ‘, 미국식으로는 ‘평평한’이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담고있는 단어이다. FLAT(아파트)와 FLAT(평평한)이 합쳐져 FLAT을 형성한다. 하지만 만약, 지형이 고르지 않고 UN-FLAT하다면 FLAT(아파트)와 UN-FLAT(평평하지 않은)이 합쳐진 UN-FLAT을 형성한다. 그러나 회현시민아파트는 FLAT (아파트)와 UN-FLAT (평평하지 않은)이 합쳐졌음에도 불구하고 FLAT을 형성한다. 지형이 달라지면 그에 맞게 적절히 건물의 형태도 달라져야한다. 그러나 회현시민아파트는 지형과 맞지 않는, 홀로 따로 노는 아파트의 형태이다. 따라서 회현시민아파트는 입체적인 재구성이 필요하다.

리모델링의 큰 방향은 ‘소통’이다. 나는 소통을 도시적 관점에서의 소통, 지형적 관점에서의 소통으로 나누어서 생각 하였다. 나는 ‘소통’을 어떻게 해석하여 풀어나갈 수 있을까 고민해 보았고 분할, 비움 그리고 연결이라는 세 가지 작은 방향을 가지고 왔다. 즉, 매스를 분할하고 분할한 매스를 비워주고 비워진 공간끼리 연결함으로써 소통을 표현해볼 것이다. 여기서 비움을 FLAT, 연결을 UN-FLAT으로 정의해 비워진 FLAT 한 요소들을 UN-FLAT 한 요소들로 연결 해준다는 의미를 주고싶다. 즉, UN-FLAT은 동선의 개념이 되는 것이다.



대상지 Site



디자인 Design

먼저, 도시적 관점에서의 소통이다. 회현시민아파트의 ‘ㄷ’자 형태 중, 가운데 매스가 도시와의 연결을 저해시키는 가림막의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 생각하여 이 부분에 어떠한 변화를 가해 도시와의 연계를 형성해준다. 또, 바로 옆 남산의 녹지를 회현시민아파트로 끌어와 자연과의 연계를 형성해준다.
다음으로, 지형적 관점에서의 소통이다. 회현시민아파트는 대지 안팎으로 다양한 높이의 공간이 있는데 그 공간과 연결되는 아파트 내부를 연계시켜 층의 경계를 확장시켜 줄 것이다.



프로그램 Program

다음은 리모델링 프로그램이다. 나는 프로그램을 주변에서 녹여 오기로 하였다. 회현동 주변에는 남대문 시장, 명동 거리 등 문화 시설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편리한 교통을 통해 충무로, 동대문, 종로 등의 특화산업이 흘러 들어올 수 있는 길이 열려있다. 이러한 공간 대비 투자비가 큰 주변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현동은, 돈이 없는 초기 창업인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따라서 지상과 지하로 나뉘는 경계인 6층을 기준으로 위는 주거, 아래는 특화산업 관련 스튜디오가 위치하는 주거복합공간이다. 그리고 층 사이사이의 필로티 공간과‘ㄷ ‘자 형태의 가운데 매스는 각 프로그램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모형 Maquette






credit

서지혜 Ji-hye Seo
5학년 Thesis Project
2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