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Coexistence in Daehangno / Gihoon Seo

대학로 공간에서의 상생
대학로에 적합한 최적의 건축 공간 창출과 확산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서울시 종로구 대명길
용도 Program : 문화복합시설 Cultural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636 m²
건축면적 Building Area : 380 m²
층수 Floors : 지하 5층, 지상 3층

문화예술거리의 의의를 지니는 대학로 공간에서 주위 맥락을 분석하여 현 시점에서 다양한 현대인을 위한 건축 구현의 필요성 그리고 이의 긍정적인 영향이 확산되도록 함이 본 건축의 큰 목적이다.





대상지 Site

대학로 일대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지정된 문화지구임에도 불구하고 급속히 상업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대학로는 청년 예술의 창작성과 실험성을 점차 잃고 있다. 또한 관광객, 학생과 주민이 각각의 생활만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년 예술가를 위한 공간의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 공간이 주변 상업 시설과 적절하게 공존하면서도, 관광객, 청년(학생)들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건축물에만 한정되지 않고, 주변 환경과 교통섬을 이용하여 보다 건축적 의의가 확장될 수 있다면 더욱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대학로’ 라는 공간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건축이란, 그 건축을 통하여 기존 대학로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면서도, 이 공간을 향유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더욱 유동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지역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이트는 대학로의 공간 중에서, 혜화역과 성균관대학교로 가는 중간 지점의 가장 중요한 사거리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만남의 장소로 활용하고 있으나, 그게 걸맞는 기다림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지역을 광범위하게 보더라도 적절한 휴게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에, 본 사이트에 그에 적합한 기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용적률 제한에 의해 지하 1층의 높은 층고를 활용하는 것과 접근성이 높은 외부 계단을 형성하는 것을 디자인 하는 데에서 본 건축이 시작된다. 역사와 주변 맥락을 고려할 때, 조형적인 부분과 기능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세세하게 살펴 디테일하게 디자인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지하 1층 ~ 지상 3층 그리고 지붕층에서 주된 공간의 활용이 이루어지며, 지하 5층 ~ 지하 4층의 공간은 공용 주차장을 통하여 보다 공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건축은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 건축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길 희망하였다.

A-A’ SECTION

조형적인 부분에 있어서, 같은 층이라 하더라도 유동적인 층고를 계획하였다. 특히 지붕층에서 도면에 명시된 바와 같이 남동쪽에서 북서쪽 방향으로의 SLOPE를 적절하게 디자인하여 ROOF PLAZA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좌측은 유동인구 밀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실을 배치하였다.

B-B’ SECTION

대지가 비교적 협소하기 때문에 기계식 주차를 활용하였으며, 주차 공간에서는 자주식 주차를 이용하도록 계획하였다. HALL & MEETING ROOM에는 상부에서 루버를 통해 빛이 들어오도록 하였으며 극장에서는 실링과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해 연극 공간을 의미있도록 하였다.

C-C’ SECTION

지하 1층으로 진입하게 되면 넓은 홀과 전시 공간을 마주할 수 있다. 지하 1층에 위치한 극장 위에는 외부 계단이 존재하여 SLOPE를 이용한 층고를 계획하였다.

B1 PLAN

사람들이 진입할 수 있는 3가지의 진입로가 존재하며, 이 층을 포함한 모든 층에는 장애인을 위한 진입을 계획하였다. 북측과 서측에는 빛이 들어오는 창을 둔다.

1F PLAN

사람들의 원활한 접근을 위해 카페를 북측, 전시공간을 남서측에 배치하였다. 외부 계단을 올라가면 외부 광장을 만날 수 있으며 이 공간에서 매일 바쁜 생활의 연속인 현대인들이 기다림, 휴식, 여유 등의 감정을 느낄 수 있길 희망하였다.

2F PLAN

OPEN CONFERENCE에서는 성균관대학교 학생들과 연계하여 자유로운 활용을 구성한다. 아래층 극장의 높은 층고를 이용한 MEETING ROOM은 연기자와 관련 업무자 등이 자유롭게 미팅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3F PLAN






credit

서기훈 Gihoon Seo
5학년 Thesis Project
2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