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3. 금천구 자원 순환 복합  / Taekjin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45-75 일대
용도 | 자원처리시설 + 복합문화시설 + 체육시설
대지 면적 | 21,569.72㎡
건축 면적 | 12,941.83㎡
층수 | B4 – 8F

Location | 345-75 Gasan-dong, Geumcheon-gu, Seoul
Program | Resource processing + complex cultural + sports facilities
Site Area | 21,569.72㎡
Building Area | 12,941.83㎡
Floors | B4 – 8F





Agenda

단순히 가져와서 만들고 쓰고 버리는 현재 선형의 구조는 무수히 많은 폐기물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매립과 소각만으로는 절대 미래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에너지 자립, 탄소 중립처럼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선 폐자원 중립이 이루어져야 한다.금천구는 서울시에서 유일하게 회수시설이 없다. 금천구는 서울시에서 유일하게 회수시설이 없다.  폐자원 관리에 취약한 금천구에서 폐기물 자립 도시를 이루어보고자 한다.

People are simply making, using, and throwing away a lot of waste. Reclamation and incineration can never be a sustainable alternative.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society, waste resource neutrality must be achieved. Geumcheon-gu is the only city in Seoul that does not have a disposal facility. I would like to build a waste independent city in Geumcheon-gu.





Concept

1. 금천구에서 발생한 폐기물이 한 장소로 모인다.
2. 폐기물은 각각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3. 안양천 건너 광명시 주거단지에서 바라보는 뷰를 고려하여 대지의 형상 그대로를 들어올려 지붕을 형성한다.
4. 삼각형 모양의 지붕을 살짝 비틀어 한쪽면은 대지와 맞닿아 보행자 동선을 연결시키고, 들어올려진 맞은 편은 특수차량이 지나들 수 있는 출입구로 역할을 하여 보행자와 출입차량을 분리시킨다.
5. 내부 공간은 지붕을 관통하여 기능실과 녹지를 연결시킨다.

1. Waste generated in Geumcheon-gu is gathered in one place.
2. Waste is reborn as a functional space.
3. Considering the view from the Gwangmyeong-si residential complex across Anyangcheon Stream, a roof is formed as if the shape of the land was lifted.
4. Twist the triangular roof slightly to connect the pedestrian movement on one side by touching the ground, and the raised side acts as an entrance for special vehicles to pass, separating pedestrians and access vehicles.
5. The interior space penetrates the roof and connects the functional room with the green area.



Site

금천구 가산동 345-75 일대의 특징은 안양천을 기준으로 서울시 공장지대인 가산 디지털 단지와 경기도 광명시의 주거단지가 나뉘어진다. 금천구에 폐기물 처리시설이 필요하다면 금천구의 주거지역과는 거리가 먼, 하지만 이는 광명시의 주거단지와는 가까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안양천 너머에서 보여지는 경관과 인근 주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편의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했다. 대지의 형상을 그대로 들어올려 광명시의 주거단지에서는 녹지 공원로 보일 수 있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345-75 area in Gasan-dong, Geumcheon-gu, are divided into Gasan Digital Complex, a factory area in Seoul, and residential complexes in Gwangmyeong, Gyeonggi-do, based on Anyangcheon Stream. If a waste treatment facility is needed in Geumcheon-gu, it is far from a residential area in Geumcheon-gu, but this causes a problem of getting closer to a residential complex in Gwangmyeong-si.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olve the scenery seen beyond Anyangcheon Stream and the convenience that could be provided to nearby residents at the same time. By lifting the shape of the land as it is, it could be seen as a green park in Gwangmyeong-si’s residential complex.





Drawings

폐기물을 수거하여 저장, 선별하는 공정은 지하화하여 최대한 악취와 오염 문제를 방지한다.
선별된 폐기물은 재활용되거나 지상의 업사이클 프로그램의 재료로 전달된다. 이후 남겨진 폐기물은 소각장으로 이동하여 발전소의 연료가 된다. 발전 시설의 공정 일부와 굴뚝은 지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고 이는 하나의 오브제로서 역할을 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폐기물 처리 시설에 대한 인식 개선과 폐기물 문제에 대한 메세지를 전달한다. 유리 너머로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 설비 지하에 에어 로크 공간을 통해 지하 공기 유출을 차단한다. 지상의 주민 편익 시설과 문화 복합 시설들은 경사 지붕을 관통하여 그 모습을 드러내고, 녹지와 연결하여 야외 프로그램으로 이어진다.

The process of collecting, storing, and sorting waste is underground to prevent odors and pollution problems as much as possible.
The selected wastes are recycled or delivered as materials for upcycle programs on the ground. After that, the leftovers move to the incinerator and become fuel for the power plant. Parts of the power plant’s process and chimneys appear on the ground, serving as an object to improve people’s awareness of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deliver messages about waste problems. It is only visually connected beyond the glass, and it blocks the outflow of underground air through the airlock space in the basement of the facility. Residents’ convenience facilities and cultural complex facilities on the ground penetrate the inclined roof to reveal their appearance, and connect to the green area to lead to outdoor programs.






Images





Maquette






credit

이택진 Taekjin Lee
5학년 Thesis Project
2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