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중랑구 문화예술 특수학교 Spectrum/ Yongheon Lee

Introduction

위치 | 서울시 중랑구 중화2동
용도 | 교육시설, 문화시설
대지 면적 | 18,500㎡
건축 면적 | 8,126㎡
층수 | B2 – 4F



Agenda

현대 사회에서 저출산 상황에 대한 문제는 부각되고 있지만, 그와 대비되는 특수교육개상자 수의 증가는 사회의 이면에 가려져있다. 사회적 약자가 계속 생기지만, 그만큼을 부양할 젊은 세대가 점점 줄어드는 방향이고, 이들의 자립성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특수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지역주민들과 특수학생들이 다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시설을 같이 설계해 또 다른 상징적인 복합문화 지역공동체학교를 제시한다





Concept

기존 특수학교의 프로그램에는 지역 주민과 융화가능성이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었지만, 보호성이라는 펜스에 의해 융화가능성을 고립시키고 있다. 펜스를 허물고 융화기능은 바깥으로 확산하여 재결합을 하게 된다. 학생들의 동선을 고려해 주민문화시설은 지하로 확장하게 되며, 특수학생들과 주민들이 함께 이용가능하다.





Design


교육청 통계에 따르면 현재 특수학교의 전반적인 공용공간 비율은 현저히 적기에 각 교실사이에 공용공간을 배치한 뒤 기존 특수학교의 단조로운 일렬 축을 틀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일정한 폭의 복도는 새로운 모양의 가능성 공간으로 변하며, 지적장애의 넓은 활동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Program


프로그램 배치는 크게 B1~1F은 주민융화시설(공연장, 도서관, 체육관, 공예실, 전시관)으로 구성되어있고, 2F~4F은 특수학교시설로 구성되어있다.






Module

교실모듈은 특수학급 2개와 사이에 공용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공용공간에는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주로 배치되며 심리안정실, 교구보관실, 놀이실, 화장실 등으로 활용된다. 또한 학급 자체에서도 구역을 나누어 학습공간과 놀이공간으로 구분하였다.





Drawing





Images






Maquette





credit
이용헌 Yongheon Lee
5학년 Thesis Project
20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