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 행궁산책 / Jihee Seo

수원화성 산책로 형성을 위한 문화도서관

변화하는 도서관에 대한 새로운 제안으로서의 문화도서관이 가져올 장소적 가치




개요 Introduction

위치 Location : 수원시 팔달구 영화동
용도 Program : 문화기반시설 Cultural Facility
대지면적 Site Area : 20,460m²
건축면적 Building Area : 8,317m²
층수 Floors : 지하 2층, 지상 3층






Agenda

4차 산업혁명 이후에 책이라는 정보 매체의 가치하락으로 도서관 역시 도태될 거라고 예상되었지만 오히려 도서관의 공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 역시 매년 증가 추세에 있고 자연스럽게 도서관 1관당 인구수가 감소하면서 개성을 가진 도서관이 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공공성과 아카이브적 기능이 강조되어온 기존의 도서관에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결합되기 시작하였고, 이제 도서관은 정보제공과 저장기능의 이상을 해내고 있다. 그 예시로서 책을 통해 사람의 정체성을 되찾고자 하는 도서관, 마을 공동체 형성을 위해 운영되는 도서관, 그리고 쇼핑몰의 복잡한 동선 속에서 중심역할을 하는 도서관을 찾아볼 수 있다.






개념 Concept

이런 변화의 또 다른 맥락으로 책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 중에서 정적이고 수동적인 활동들을 보다 능동적인 형태로 흡수시켜 책과 그것을 읽는 사람 사이에 지식적인 교류 그 이상의 문화체험을 이끌어낼 수 있는 도서관을 기획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매체와 다양한 이용객 등을 수용하는 새로운 기반 시설로서의 문화도서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지 Site

대상지는 수원화성 북측 외곽에 위치한 약 2만m²의 평지로써 성곽을 바로 마주하고 있다. 화성 내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수원천을 따라 형성된 세로 축에는 주로 소규모 필지에 활동적 프로그램이 형성되어 있고, 문화유적이 집중된 가로축에는 대규모 필지에 정적인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비교했을 때 대상지인 수원영화 문화관광지구는 대규모 필지를 가지고 있어, 이곳에 좀 더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문화도서관을 기획함으로써 성곽 위의 산책로가 아닌 지상부 산책로의 새로운 시작점을 제공하여 행궁 내 프로그램들과의 자연스러운 문화클러스터 형성을 유도하였다.

정의되지 않은 공간인 광장을 행궁 진출입구와 연계해 배치함으로써 이 곳에 머무르는 것만으로도 장소적 가치를    느낄 수 있다. 문화도서관의 5가지 메인 프로그램들을 지상층에서는 독립적으로, 지하층에서는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각각 의 공간적 특색이 외부적으로 드러나도록 의도하였다.






디자인 Design






프로그램 Program




1) Makser’s Space – 책을 읽는 것 외에 직접 만들 수  있는 곳을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주체성을 이끌어내는 교육시설이자 상업시설

2) Book Cafe – 진입장벽이 가장 낮은 공간으로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쉽게 수용하는 역할을 해주는 상업시설

3) Cube Zone – 기존 도서관의 서가나 열람실을 좀 더 역동적인 형태로 변형시킨 공간으로, 여러 개의 층을 수직적으로 연결시킨 각각의 큐브공간에 책 분류에 따른 테마를 적용시킴으로써 개성 있는 공간 연출이 가능

4) Open Zone – 앞선 큐브존과 달리 이용자들의 행태에 따라 용도가 변화하는 열린공간으로 다양한 행사의 수용이 가능한 구역

5) Gallery – 책을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장소






모듈 Module

5가지 프로그램을 건축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주목한 점은 성벽의 경계적 특성이다. 성벽 외부의 주변건물은 대게 평지붕이지만, 성벽을 가까이한 내부는 건축규제에 따라 대부분 경사지붕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이에 문화도서관 역시 경사지붕을 사용함으로써 화성 내부와 시각적 연계를 유도하였고, 이를 5가지 프로그램에 독립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스페이스 유닛을 구성하였다. 기본적인 형태를 기준으로 개구부가 강조된 유닛, 외부테라스를 형성하는 유닛, 중첩과 분절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창출해내는 유닛, 그리고 지하를 연계하는 썬큰 유닛으로 변형하여 적용시켰다.






도면 Drawings

Plot Plan






모형 Maquette






credit

서지희 Jihee Seo
5학년 Thesis Project
20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