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4-2 생활권 집현리
용도 | 문화복합시설, 도서관
대지 면적 | 14,320m2
건축 면적 | 11,530m2
층수지하 | 3층, 지상 9층
Location | Jiphyeon-li, 4-2 Living Sphere, Sejong-si, Republic of Korea
Program | Multi Cultural Facility, Library
Site Area | 14,320m2
Building Area | 11,530m2
Floors | B3 – 9F
Agenda
도서관의 역사를 바라봤을 때 지금까지의 도서관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보를 일방향으로 습득하는 공간이었다.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는 세종 도서관은 정보 습득을 넘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산하는 쌍방향 공간을 제시한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a library, it has been a place where people obtain information unidirectionally through various means. On the other hand, this Sejong library presents an interactive space where users not only get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heir own contents.
도서관은 세 공간으로 구성된다.
1. BOOK | 현행 도서관 분류 체계에 따라 정리된 기존 책 위주의 공간
2. LARCHIVEUM | 서점의 세분화된 분류 체계를 토대로 다양한 미디어를 저장한 디지털 라키비움 공간
3. EXPERIENCE | 그리고 그 사이 공간에, 정보를 습득한 사용자들이 만나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체험형 커뮤니티 공간

The library is composed of three parts.
1. BOOK | A book area according to the library classification
2. LARCHIVEUM | A digital larchiveum according to th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of a book store
3. EXPERIENCE | An experiential community space between these two parts where users meet others and create various contents

Design
세종시 체험형 도서관 공간의 구성할 때 중점을 둔 설계 포인트는 크게 3가지이다.
1. 대지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의 랜드마크 도서관을 구축해내는가.
2. 다양하고 재미있는 공간을 구성해내되, 도서관 분류 체계에 따라 효율적이고 정갈하게 정보를 정리할 수 있는가.
3. 도서관의 대공간 구조를 논리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가.

There are three design points.
1. Design a landmark libr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2. Not only create various and interesting spaces, but also organize information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library classification.
3. Solve the structure for the large space logically.
1. 대지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의 랜드마크인 도서관을 구축해내는가.
1. Design a landmark libr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거시적, 미시적 사이트 분석을 통해 디자인 단서를 얻어냈다. 주변 대지와 건물의 프로그램을 조사해 가운데에 위치한 사이트에서 어떤 액션이 펼쳐질지 포괄적으로 예상하여 설계했다.
The macro and micro site analysis gave a cue for the design. Researching the surrounding programs helped imagining what would happen on the site.


특히, 간단한 내, 외부 모델 렌더링을 통해 주변 대지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검토하며 최적화된 디자인 과정을 진행했다.
Especially, the optimized design process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programs through simple internal and external model renderings.

또한 새로 지어질 도시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요한 건물이기 때문에 상징적이고 파격적인 디자인의 랜드마크가 되어야 했다. 위의 이미지는 사람의 눈높이에서 본 주출입구 뷰이다.
Moreover, the buildi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ew city. Thus, it should be a landmark with a symbolic and unconventional design. The render shot above is an eye level view of the main entrance.
2. 다양하고 재미있는 공간을 구성해내면서 도서관 분류 체계에 따라 효율적이고 정갈하게 정보를 정리할 수 있는가
2. Not only create various and interesting spaces, but also organize information efficiently


위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하고 재미있는 공간들을 창출하기 위해 많은 변화를 주었지만,
As the images above show, there are many variations to make various and interesting spaces.

도면 다이어그램을 보면 평면상에서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했다. 책 위주의 매스, 가장자리에 있는 울룩불룩한 라키비움 매스 그리고 그 사이, 공중에 떠있는 브릿지와 슬랩 형태의 체험형 공간, 이 세 가지가 정갈하게 배치되어 효율적으로 정보의 열람과 정리가 가능하다.
An experiencial space with a bridge and slabs floating in the air, a bumpy lachiveum located at the edge and a mass consisting mainly of books.
; these three spaces are well arranged with the grid system so that it becomes more efficient to read and organize information.
3. 도서관의 대공간 구조를 논리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가
3. Solve the structure for the large space logically



기둥을 최소화하여 대공간의 구조를 만들기 위해 MVRDV의 중국 텐진 빈하이 도서관의 대공간 구조를 참고했다. 거대한 SRC (Sulphate Resisting Cement)로 이루어진 5개의 고강도 코어가 트러스를 지탱하는 구조이다. 트러스에는 기둥이 매달려 있어 가장자리에 연결된 슬랩 및 라키비움 큐브들을 지탱한다.
To make a large space with reducing columns, Tianjin Binhai Library (MVRDV) was referred. The five high-strength cores, made of huge SRC (Sulphate Resisting Cement) , support the truss. The columns are suspended from the truss and bear the slabs and larchiveum cubes, which are connected on the edge.
Diagram



Drawing





Model








Credit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