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 The Hoffice / Jihwan Roh


Introduction

위치 ㅣ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2469
용도업무시설, 숙박시설
대지면적 ㅣ9,700㎡
연면적 ㅣ68,540㎡
층수 ㅣ지하 5층, 지상 21층

Locationㅣ2469, Bangbae-dong, Seocho-gu, Seoul
ProgramOffice, Hotel
Site Areaㅣ9,700㎡
Total Floor Areaㅣ68,540㎡
Floorsㅣ B5-21F






Agenda


직장인들에게 있어서 오피스는 장시간의 생활 공간이다. 그러나, 일부의 워커홀릭을 제외한다면 오피스는 가고 싶은 곳이 아닌, 나가고 싶은 곳이다. 그럼에도, 오피스를 덜 나가고 싶게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직장인들이 가고 싶은 ‘집’과 나가고 싶은 ‘오피스’를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으로 휴식 공간의 부재가 나왔다. 직장인들에게 집은 휴식의 공간이고, 직장은 일의 공간이다. 이에 집 같은 오피스를 만들면 덜 나가고 싶은 오피스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An office is a living space where workers spend a lot of time of their lives.. Except for some workaholics, however, the office is not where you want to go, but where you want to get out. Nevertheless, I wanted to design an office where people are less likely to leave. So I compared the ‘home’ that office workers want to go and the ‘office’ that they want to get out.

The reason why people are reluctant to stay in office is the lack of rest space. For office workers, home is a resting space, and office is a working space. Therefore, by making office like home, it will be able to create an office where people want to get out less.








Site Analysis



서초구 방배동 2469 인근은 본래 서울메트로의 복합환승센터가 예정되어 있는 부지이다. 지하철 2호선과 4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라는 점과 과천대로와 남부순환로가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동인구가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Originally a complex transfer center of Seoul Metro was planned on the site. Given that it is a transfer station where subway lines 2 and 4 intersect, Gwacheon-daero, and the southern circulation route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nalysis of facility use near Sadang Station


주변 사이트 분석을 통해서 간략히 현재 분포하고 있는 건물들의 용도와 높이를 비교해 보았다. 해당 부지에 유동인구가 많다는 점에서 단순히 회사 건물만을 짓기보다, 거주민들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상업시설을 비롯한 생활편의 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rounding sites, I briefly compared the uses and heights of the currently distributed buildings. Rather than simply building office buildings due to the large floating population on the site, I thought that convenience facilities were needed to be used with residents, including commercial facilities.



건물의 높이와 함께 주변 경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이다. 해당 결과를 통해서 주변의 녹지 공간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최적의 높이를 찾고자 하였다.

This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landscape along with the height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results, I wanted to find the optimal height to see the surrounding landscape.







Program



오피스의 형식은 소규모 기업들을 위한 공유 오피스로 결정하였다. 휴식 공간을 통해서 다른 기업 또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늘림으로써 정보의 교류를 늘리고, 이를 통해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하철과의 연결을 통해서 외부인들로 하여금 저층부 상업시설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The format of the office was determined to be a shared office for small businesses.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by increasing contact with other companies or people through rest areas, they could increas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create synergy. In addition, the connection with the subway makes it easier for others to access low-rise commercial facilities.


East-West Section


두 번째로 오피스와 연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소규모 기업들을 위한 공유 오피스로서 역할을 하는 남쪽 매스와 연계하여, 장기간 체류할 수 있는 비즈니스 호텔을 생각하였다. 간단한 사무공간과 공유공간을 갖춤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주도록 하였다.

Secondly, I thought of a business hotel that can stay for a long time in connection with the South Mass, which serves as a shared office for small businesses as a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office. It was design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having simple office space and shared space.



해당 프로그램들을 계획함과 동시에 휴식공간을 분배하기 위해 두 가지의 전략을 적용하였다.  첫번째는 비정형의 슬래브를 통해서 테라스를 형성하는 전략이다. 특히 비즈니스 호텔의 경우, 각 실 별로 테라스를 가질 수 있게 계획하였다. 두번째는 정형적인 실내 공간 속에서도 휴식공간을 만듦으로써 사람들 사이의 교류를 증대 시키고자 하였다.

Two strategies were applied to plan the programs and to distribute the rest area at the same time.  The first is a strategy to form a terrace through an unformal slab. Especially for business hotels, each room was planned to have a terrace. The second goal was to increase interaction between people by creating a resting area even in a formal indoor space.








Facade


입면 디자인의 경우 크게 세 개의 레이어로 구성했다. 벽체와 유리를 구성하는 레이어, 켄틸레버를 지지하는 외부 기둥 레이어, 난간과 루버로 구성된 레이어로 이루어진다.

In the case of facade design, it is composed of three main layers. It consists of a layer comprising walls and glass, an outer column layer supporting the cantilever, and a layer comprising a railing and louver.



테라스를 지지하는 외부기둥이 층간 연결을 할 때, 기둥의 높이가 일반적인 실내의 기둥보다 높아짐에 따라 좌굴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각 기둥을 연결하여 세장비를 크게 낮추어 해결하였다.

When external columns supporting the terrace are connected between floors, buckling occurs as the column height becomes higher than that of a typical indoor column. To suppress buckling of the external column, I solved it by connecting columns and greatly reducing the slenderness ratio.








Drawings

1F&2F
5F&4F
B2F&B1F
Typical Floor Plan
Elevation
Section







Images







credit

노지환 Jihwan Roh
3학년 1학기 3rd Grade 1st Semester
20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