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3. [Robie House] Case Study / Hojun Jung






Introduction

위치 ㅣ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S Woodlawn Ave, 5757
용도주거
대지면적 ㅣ 1,214㎡
층수 ㅣ 1F – 3F

Location ㅣ 5757 S Woodlawn Ave, Chicago, IL USA
ProgramResidential
Site Area ㅣ 1,214㎡
Floors ㅣ 1F – 3F






Agenda

일매지게 정렬된 기둥과 지붕의 조화는 로비하우스를 선택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여러 도면과 모형을 제작하면서 느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섬세함은 케이스 스터디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The Harmony of aligned columns and roofs was a decisive factor in choosing the Robie House. Frank Lloyd Wright’s delicacy was an interesting point of drawing floor plans and making a maquette.






Architecture Information

로비하우스는 근대 미국의 독자적 양식인 ‘대초원 양식’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미국만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대초원 양식을 이끌어갔다. 대초원양식은 미국 중서부 대평원에서 따온 ‘수평성’ 이라는 디자인 모티브를 바탕으로 19세기 후반부터 미국에서 유행했던 양식이다. 이 양식은 미국 특유의 광대한 초원이라는 자연환경과 건축의 조화를 추구한다.

The Robie House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modern America’s independent style, the Prairie Style. Frank Lloyd Wright led the Prairie style based on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 of the United States. The prairie style has been popular in America. The prairie style is the origin of ‘horizontality’ from the great plains of America.This style seeks to harmonize architectur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vast grasslands of the United States.






Drawings

도면을 작도할 때는 입면의 해치를 넣는 과정이 제일 힘들었다. 외부 마감재인 벽돌을 표현하기 위한 해치는 선 사이의 간격이 작아서 작도하기에 까다로운 부분이다.

The process of putting a hatch on the elevation was the hardest part. The Hatch for expressing bricks,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s a difficult part to work on due to the small gap between the lines.






Working Process

로비하우스의 모델 제작 과정에서 가장 주의하여 만든 부분은 수직과 수평의 정확성이다.

The most important part of making a maquette i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ccuracy.

건축 모형에서 수직, 수평이 맞지 않는 부분은 사진을 찍었을 때,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 그렇기에 비교적 많은 기둥과 지붕이 있는 로비하우스에서 수직, 수평은 매우 중요하다.

It is more visible in photos whether some parts of an architectural model are not alig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refore, accurately alig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s of the model is important.

로비하우스의 모형제작 과정에서는 약 50여개의 창문을 일정하고 반듯하게 만드는 것이 관건이었다. 0.5T 연질 아크릴 양면에 2T 배스우드를 접착하는 방법을 통해 450mm 두께의 기둥과 그 사이사이에 있는 창문들을 1:100의 스케일로 표현했다. 이를 통해 창과 기둥의 접합부분을 깔끔히 표현할 수 있었으며, 층별로 모든 기둥을 수직적으로 일정하게 세울 수 있었다.

During the working process of the Robie House, the key was to make about 50 windows consistent and straight. In order to make the window between 450mm thick columns on a 1:100 scale, each column was made by bonding 2mm Basswoods to both sides of 0.5mm soft acrylic. This allowed the joint between the windows and the columns to be neatly made, and all columns could be vertically fixed for each floor.

층별 슬라브와 지붕의 수평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한 층의 모형제작이 끝나면 소형 수평계를 활용하여 수평을 맞추어 주었다.

The level of slabs and roofs of the floor is also an important part. To do it, a small horizontal meter was used to check level after one layer of maquette was completed,






Maquette

2nd floor
3rd floor

로비하우스는 모형제작부터 도면까지 쉬운 과정 하나 없는 주택이다. 허나 로비하우스의 케이스 스터디를 성공적으로 마감한다면 많은 것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다. 험난한 과정과 시련을 통해 한 단계 성장한 자신을 마주하고 싶다면 2학년 1학기의 케이스 스터디 주택으로 ‘로비하우스’를 선택하길 바란다.

The Case study of the Robie House is a difficult process. However, if you successfully finish it, you will get a lot out of it. If you want to grow up through this hard times, choose “Robie House” as the case study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credit

정호준 Hojun Jung
2학년 1학기 2nd Grade Spring Semester [Case Study]
2021

2 thoughts on “ 443. [Robie House] Case Study / Hojun Jung ”

  1. 안녕하세요! 건축 2학년 과제로 로비하우스를 만들게 되었는데 혹시 도면 구할 수 있을까요? 부탁드려요ㅠㅠㅠ 감사합니다.

  2. 참고해서 모형을 만들려 했는데 도면의 치수들이 하나도 안맞네요 ~

댓글